글에 등장하는 모든 것은 이유가 있어야 한다.


시나리오

옴니버스 영화는 철저히 기획해서 제작한다.
감독을 먼저 컨텍하고 그에 맞는 작가를 모집한다.

어떤 지역을 배경으로 선택할 때는 그 지역의 특징을 잡아서 작품에 녹여내야 한다.

만약 주인공을 소심한 인물로 설정했다면,
그걸 빨리 깨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소설


무엇을 쓸까?

1차적 발상 : 내가 하지 못하는 것을 등장인물을 통해서 보여준다.
2차적 발상 : 나와 시대와의 접점을 찾아낸다.


2차적 발상 소설을 쓰려면?

  1. 신문‧시사고발을 보고 인물 하나를 뽑는다.
  2. 그 인물을 객관화 한다.
    (과도한 감정몰입은 피한다.)
  3. 결론이 사회 비판으로 가면 안되고, 인간에 대한 이해로 가야 한다.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

나는 인간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내가 바라보는 인간은 어떤 것인가?


시대를 바라보는 관점

내가 남들과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은 무엇인가?



by


Tags : , , , , , ,

  •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광고를 클릭해주시면,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시나리오와 소설은 어떻게 쓰는가?

시나리오

사건을 먼저 잡는다.
그리고 주인공의 행동이 사건에 따라 일어난다.
요즘엔 복합물이 많지만, 원형을 먼저 파야 한다.
산만하지 않게 주제에 집중한다.

캐릭터를 살리는 방법

  • 사건이 생겼을때 그 사건에 대응하는 모습
  • 대사 (쓰는데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다.)

스릴러

긴장감, 관객과의 머리싸움(속임수)
참고할만한 작품 : ⌜히치콕⌟

멜로‧로멘스

원형을 파되, 최근의 추세 트렌드하고 결합한다.
드라마를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참고할만한 작품 : ⌜귀여운 여인⌟ ⌜러브어페어⌟

코미디

미국식 코미디는 우리나라 정서에 맞지 않으니 조심해야 한다.
참고할만한 작품 : 채플린의 작품

시나리오 공부에 좋은 영국 드라마

  • 셜록
  • 루터
  • 삼총사
  • 화이트 채플
  • 브로드 첮치
  • 마이 매드팻 다이어리


소설

나의 또다른 자아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내가 하고 싶지만 못하는 행동을 주인공이 해낸다.
과정 중에 어려움을 겪으며 해결하는 카타르시스를 그려낸다.
나와 또 다른 자아 사이에는 판타지가 있어야 한다.
직업이 다르거나 처한 상황이 다르거나 나와 다른 요소를 가미한다.
자기를 투영하는 등장인물이라고 해도 자기연민은 버려야 하고,
나의 어려움이 아닌 다른 사람의 어려움이 무엇인지 공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기 연민을 걷어내라!
어떤 소재만으로는 소설이 되지 못하므로,
그 소재에서 반짝이는 순간을 포착하여 소설로 쓴다.
독자가 소설을 읽는 이유는 ‘무엇을’ ‘왜’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서니,
그 답을 먼저 주고 그 다음에 ‘어떻게’에 대한 해답을 주는 것도 괜찮다.
유럽에서는 기본적으로 철학 교육이 되어있기 때문에
‘무엇을’과 ‘왜’를 생략하고 ‘어떻게’로 바로 들어가는 소설도 많다.
묘사를 너무 살리기 보다는 중요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이 좋다.
글로 일일히 장황하게 설명하기 보다는 영향력 있는 상황으로 보여준다.
장면의 전환에는 새로운 소재를 가미하면 신선하다.
등장인물이 일상에서 벗어난 모습을 보여준다.
아무런 계기가 없는 갑작스러운 결말은 혼란스러우니 조심한다.



by


Tags : , , , , , ,

  •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광고를 클릭해주시면,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