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論語)

유학의 정수. 논어.

‘유교’ 하면 공자가 떠오르고, ‘공자’라는 이름은 딱딱한 인상을 줬다. 알지는 못하지만, 왠지 가까이하면 피곤해질 것 같은 느낌. 그래서 공자를 애써 알려고 하지 않았다. 그러던 중에 재미난 에피소드를 하나 들었다.

어느 날 임권택 감독이 변영주 감독에게 “국악 좋아하느냐.”라고 물었다. 변영주 감독이 별로 안 좋아한다고 말했더니, 임권택 감독이 “게을러서 그렇다.”라며 핀잔을 주었다고 한다. 그 말에 변영주 감독은 국악만 석 달 동안 내리 들었는데, 그러다 자신이 가야금을 좋아하고 꽹과리는 싫어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에피소드가 문득문득 생각나던 중에 공자가 같이 떠올랐다. 유교 기본서라도 읽어봐야 ‘어떤 부분에서 불편함을 느끼는가?’라는 의문이 정리될 것 같아 대학부터 천천히 읽기 시작해서 이제 논어를 읽었다.

공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한 마디로 이렇다.
극기복례(克己復禮) 하여 인자(仁者)가 되라. (‘에이 못난 놈. 사람 되라.’)
사사로운 감정을 극복해서 예로 돌아가는 것이 인을 구하는 길이라는 것이다.
이 사욕을 이겨내는 방법으로써 다섯 가지를 말한다.
삼감(恭), 너그러움(寬), 미쁨(信), 부지런함(敏), 그리고 베풂(惠)
민(敏)을 책에선 부지런함(diligence)이라 표현했지만, 글자 그대로 민첩함(agileness)이라 하는 게 더 와 닿는다.
이 다섯 가지가 너무 많다면, 서(恕) 하나만 생각하면 된다. 자신이 하고자 하지 않는 바를 남에게 베풀지 않는 것이다. 공자는 숨을 거둘 때까지 행할만한 한마디라 말할 만큼 중요히 생각했다.
공자의 이상은 자신이란 원석을 줄로 쓸고 끌로 쪼고 숫돌에 갈 듯하여 쓸모 있게 만드는 것이다.
미완성에서 완성으로 나아가라는 공자의 이 말이 나를 불편하게 했다.
결국 ‘더 나은 미래를 향해 나아가라.’ 인데,
미래나 과거에 묶여 사는 사람에게 무슨 삶이 있단 말인가?
죽을 때까지 부족과 결핍을 극복하느라 허송세월하긴 싫다는 마음이 든 것이다.
사실 이미 삶의 본질을 깨우쳤다면 남의 말이 불편할 까닭이 없다.
도에 합당하면 행하면 되고, 아니면 말면 되니까.
그러나 의혹에 가득 차있는 상태에서는 자꾸 이래라저래라 하는 소리가 듣기 싫을 따름이다.
그것이 불편함의 근원이다.

제자가 말한 공자는 모습은 이렇다.
‘사사로운 뜻(意)’이 없었고, ‘반드시(必)’라는 것이 없었으며, ‘꼭(固)’이라는 것도 없었고, 그리고 ‘나(我)’라는 것이 없었다.
정말 그랬다면 안연의 죽음이 참 안타까운 일이다. 양식(form)을 뛰어넘어 정수를 이어받을 만한 제자는 안연뿐이었으니 말이다. 다른 이에게는 기껏해야 ‘이러지 말고 저렇게 해라.’하는 모양을 바로잡는 수준에서나 말이 통했을 테니 얼마나 외로웠을까? 그래서 안연이 죽었을 때 하늘이 자기를 버렸다고 탄식을 했는가 보다.

비록 공자의 가르침에 경직된 부분은 불편할지라도,
유가 사상을 제대로 따르는 사람을 만난다면 참 기쁘겠다.
정형화된 가르침 정도만 잘 따라도 세상은 훨씬 좋아질 거다.
그러나 2500년 전 공자님 말씀은 아직도 고전이고, 예나 지금이나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해 사는 사람이 대다수다.


논어 - 책갈피


학이(學而)


-

위정(爲政)

2-03-1
선생님 말씀하시다. 정법(政)으로 이끌고 형벌로 가지런히 하려 들면, 백성들은 면하려고만 하지 부끄러움을 느끼지는 않는다.
子曰 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恥.

2-03-2
(반면) 덕(德)으로 인도하고 예(禮)로서 가지런히 하면, (백성들은) 부끄러워할 뿐 아니라 또 (스스로) 바로잡는다.
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

2-07-0
자유(子游)효를 여쭈었다.
선생님 말씀하시다. 요즘 효라는 것은 잘 먹이는 것을 이르더구나. (하지만) 개나 말에 이르러서도 다들 먹이기야 한다. 공경하는 마음이 없다면 어찌 구별할 수 있겠느냐!
子游問孝. 今之孝者, 是謂能養. 至於犬馬, 皆能有養. 不敬, 何以別乎!

2-10-0
선생님 말씀하시다. 그 행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그 까닭을 헤아려보고, 그 편안히 여기는 바를 따져보면, 사람이 어떻게 (허물을) 숨길 수 있을꼬! 사람이 어떻게 숨길 수 있을꼬!

子曰 視其所以, 觀其所由, 察其所安, 人焉瘦哉! 人焉瘦哉!

2-10-0
선생님 말씀하시다. 군자는 그릇(器)이 아니니라.
子曰 君子不器.

2-15-0
선생님 말씀하시다.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남는 것이) 없고, 생각하기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子曰 學而不思卽罔, 思而不學卽殆

2-17-0
선생님 말씀하시다. 자로(由)야, 너에게 안다는 것을 가르쳐주련?
아는 것을 안다 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하는 것, 이것이 앎이니라.
子曰 由, 誨汝知之乎?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

2-18-2
선생님 말씀하시다. 많이 듣고 미심쩍은 것은 제쳐두고 나머지를 조심스레 말하면 허물이 적으리라.
널리 보고 위태로운 것은 제쳐두고 나머지를 조신하게 행동으로 옮기면 뉘우칠 일이 적으리라.
말에 허물이 적고, 행동에 뉘우침에 적으면 벼슬은 그 가운데 있느니.
子曰 多聞闕疑, 慎言其餘,則寡尤. 多見闕殆, 慎行其餘, 則寡悔. 言寡尤, 行寡悔, 祿在其中矣.

2-24-0
선생님 말씀하시다. 자기 귀신이 아닌데도 제사 지내는 것은 아첨이다. 의(義)를 알면서도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
子曰 非其鬼而祭之, 諂也. 見義不為, 無勇也.

팔일(八佾)

3-20-0
선생님 말씀하시다. (시詩의) ‘관저’편은 즐거우면서도 음란하지 않고, 애틋하면서도 몸을 상하게 하지는 않는구나.
子曰 關雎, 樂而不淫, 哀而不傷.

이인(里仁)

4-02-0
선생님 말씀하시다. 불인자(不仁者)는 가난에 오래 머물지 못하고, 즐거움도 오래 누리지 못한다.
인자(仁者)라야 ‘인(仁)’을 편히 여기고, 지자(知者)라야 ‘인’을 이롭게 여기느니.

不仁者, 不可以久處約, 不可以長處樂. 仁者安仁, 知者利仁.

4-05-3
군자란 밥 먹는 동안에도 인(仁)에 어긋나지 않고, 급박한 순간에도 꼭 이렇고, 넘어지고 자빠지는 순간조차 반드시 그러한 것이다.
君子無終食之間違仁, 造次必於是, 顛沛必於是.

4-08-0
선생님 말씀하시다. 아침에 도(道)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으리니.
子曰 朝聞道, 夕死可矣.

4-14-0
선생님 말씀하시다. 자리(位) 없음을 근심하지 말고, 서지(立) 못하는 까닭을 근심하라.
자신을 알아주지 않음을 근심하지 말고, 알 수 있게 되기를 구하라.
子曰 不患無位,患所以立. 不患莫己知,求為可知也.

4-16-0
선생님 말씀하시다. 군자는 의(義)에 밝고, 소인은 이끗에 밝느니.
子曰 君子喻於義, 小人喻於利.

4-26-0
자유가 말하였다. 임금을 섬김에 자주 간하면 곧 욕을 당하고, 벗이라고 자주 충고하면 곧 뜨악해진다.
子曰 事君數,斯辱矣,朋友數,斯疏矣.


공야장(公冶長)


-

옹야(雍也)

6-20-0
번지가 지혜(知)를 여쭈었다.
선생님 말씀하시다. 백성들 속에 의(義)를 세우기를 힘쓰고, 귀신을 공경하되 멀리하면 지혜롭다고 일컬어지리라.
인(仁)을 여쭈었다. 말씀하시다. 인자는 어려운 일을 우선하고, 이득(獲)을 뒤로 하나니, ‘인’으로 일컬을 수 있으리라.
樊遲問知. 子曰 務民之義,敬鬼神而遠之,可謂知矣. 問仁. 曰 仁者先難而後獲,可謂仁矣.

6-21-0
선생님 말씀하시다. 지자(知者)는 물을 좋아하고, 인자(仁者)는 산을 좋아한다.
지자는 움직이고, 인자는 고요하다.
지자는 즐기고, 인자는 오래 산다.
子曰 知者樂水,仁者樂山. 知者動,仁者靜. 知者樂,仁者壽.

6-28-2
대저 인(仁)이란 제가 서고 싶으면 남도 세워주고, 제가 알고 싶으면 남도 깨우쳐주는 것이지. 주변에서 능숙히 비유를 취할 수 있다면, 인(仁)의 길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을 게야.
夫仁者,己欲立而立人,己欲達而達人。能近取譬,可謂仁之方也已.


술이(述而)

7-03-0
선생님 말씀하시다. 덕(德)이 닦이지 않고, 배움이 몸에 익지(講) 않고, 의(義)를 들어도 실천에 옮기지 못하고, 불선(不善)을 고치지 못하는 것. 이것들이 다 내 근심이려니!
子曰 德之不脩,學之不講,聞義不能徙,不善不能改,是吾憂也!

7-08-0
선생님 말씀하시다. (배우려는 자가) 조급해하지 않으면 열어 주지 않고, 말로 표현하려고 애쓰지 않으면 퉁겨주지 않는다.
한 모서리를 들어주되 나머지 세 모서리를 알아채지 못하면 다시는 반복하지 않는다.
子曰 不憤不啟,不悱不發,舉一隅, 不以三隅反,則不復也。

7-11-0
선생님 말씀하시다. 구해서 부자가 될 수 있다면, 비록 ‘채찍 잡는 일’이라도 하련마는, 구해서 되는 게 아니라면 내 좋아하는 바를 좇으리라.
子曰 富而可求也,雖執鞭之士,吾亦為之。如不可求,從吾所好.

7-20-0
선생님은 이상한 것, 억압적인 것, 상식을 뒤엎는 것, 상식을 넘어서는 것에 대해서는 말씀하지 않았다.
子不語 怪,力,亂,神。

7-21-0
선생님 말씀하시다. 세 사람이 길을 가도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게 마련. 그 가운데 잘난 것은 골라서 좇고, 잘못된 것은 고칠 일이다.
子曰 三人行,必有我師焉。擇其善者而從之,其不善者而改之。

7-24-0
선생님은 네 가지로써 가르쳤으니, 문(文)과 행실, 진정성, 그리고 신뢰였다.
子以四教, 文,行,忠,信。

7-27-0
선생님 말씀하시다. 대개 알지 못하면서도 짓는(作) 사람이 있다더냐?
난 그렇지 않다. 많이 듣고 그 잘된 것을 택하여 좇고, 많이 보고 (그 가운데 잘된 것을) 기억해두는 것이 앎의 버금인 게지.
子曰 蓋有不知而作之者? 我無是也。多聞, 擇其善者而從之,多見而識之,知之次也.

7-35-0
선생님 말씀하시다. 사치하면 거만해지고, 검약하면 인색해지는 법. (하지만) 거만한 것보다는 차라리 인색한 것이 나으리라.
子曰 奢, 則不孫,儉, 則固。與其不孫也,寧固.


태백(泰伯)

8-02-1
선생님 말씀하시다. 공손하되 예(禮)가 없으면 수고롭고, 신중하되 예가 없으면 불안(葸)하고, 용맹스럽되 예가 없으면 난폭하고, 곧되 예가 없으면 강퍅(絞)하게 되느니.
子曰 恭而無禮則勞,慎而無禮則葸,勇而無禮則亂,直而無禮則絞.

8-04-3
군자가 정치의 길에서 귀히 여겨야 할 것이 셋입니다. (첫째는) 행동거지에 있어 거칠고 방만함을 멀리할 일입니다. (둘째) 안색을 바로잡아, 미쁘게 할 일입니다. (셋째) 말할 적엔 비루하고 이치에 어긋난 것을 멀리할 일입니다. (나머지) 소소한 일은 담당자(有司)를 두어 맡기십시오.
君子所貴乎道者三. 動容貌,斯遠暴慢矣. 正顏色,斯近信矣. 出辭氣,斯遠鄙倍矣。籩豆之事,則有司存.

8-10-0
선생님 말씀하시다. 용맹은 좋아하면서 가난은 싫어하면 큰일을 내고, 사람이 ‘사람답지 않다 하여(仁)’ 미워하기를 심히 하면 큰일을 낸다.
子曰 好勇疾貧,亂也。人而不仁,疾之已甚,亂也.

8-16-0
선생님 말씀하시다. 눈만 높고 정직하지 않으며, 미련하면서도 끈기가 없고, 무식하면서도 믿음성조차 없는 놈들은 나도 어찌할 줄 모르겠더구나.
子曰 狂而不直,侗而不愿,悾悾而不信,吾不知之矣.


자한(子罕)

9-04-0
선생님은 네 가지가 없었다. ‘사사로운 뜻(意)’이 없었고, ‘반드시(必)’라는 것이 없었으며, ‘꼭(固)’이라는 것도 없었고, 그리고 ‘나(我)’라는 것도 없었다.
子絕四. 毋意,毋必,毋固,毋我。

9-12-0
자공이 말하였다. 아름다운 옥구슬이 여기 있다고 합시다. 궤속에 감춰두어야 할까요? 아니면 좋은 값을 구해 팔아야 할까요?
선생님 말씀하시다. 팔아야지! 팔아야 하고말고! 다만 나는 제 값을 기다리고 있지.
子貢曰 有美玉於斯. 韞匵而藏諸?求善賈而沽諸? 子曰 沽之哉!沽之哉!我待賈者也.

9-23-0
선생님 말씀하시다. ‘이치에 합당한 말’에 수긍하지 않을 수 있으랴만, 실제로 고치는 것이 귀하다. ‘듣기 좋은 말’이 기쁘지 않으랴만, 그 참뜻을 찾아내는 것이 더욱 귀하다.
기뻐하기만 하고 참뜻을 찾을 줄 모르고, 수긍만 하고 고칠줄 모른다면, 나도 어찌할 줄을 모르겠다.
子曰 法語之言,能無從乎, 改之為貴。巽與之言,能無說乎, 繹之為貴。說而不繹,從而不改,吾末如之何也已矣.

9-28-0
선생님 말씀하시다. 지자(知者)는 미혹하지 않고, 인자(仁者)는 근심하지 않으며, 용자(勇者)는 두려워하지 않는 법.
子曰 知者不惑,仁者不憂,勇者不懼.

9-30-1
‘당체(唐棣)의 꽃이여, 번쩍이며 펄럭이누나. 어찌 그대가 생각나지 않으리오마는, 집이 멀구려.’
唐棣之華,偏其反而。豈不爾思, 室是遠而.

9-30-2
선생님 말씀하시다. 생각이 없는 게지, 먼 것이 무슨 문제가될꼬!
子曰 未之思也,夫何遠之有!


향당(鄕黨)

10-03-2
손과 나란히 서서 인사할 적에는, 왼쪽 손님에겐 왼손을 위로, 오른쪽에겐 오른손을 위에 얹어 읍하였다. (그 순간에도) 옷의 앞뒤자락은 반듯하였다.
揖所與立,左右手。衣前後,襜如也。

10-03-3
앞장서 걸을 적엔, 새가 날갯짓하는 듯하였다.
趨進,翼如也。

10-03-4
손이 물러간 뒤에는 반드시 이렇게 복명하였다. “손님이 뒤돌아보지도 않더이다.”
賓退,必復命曰 賓不顧矣。

10-08-4
고기는 비록 많이 먹을 경우라도 밥기운을 이길 정도는 아니었다. 오직 술만큼은 정한 양이 없었으나, ‘휘둘리는 지경(亂)’에 이르지는 않았다.
肉雖多,不使勝食氣。惟酒無量,不及亂.


선진(先進)


-

안연(顔淵)

12-01
안연이 인(仁)을 여쭈었다.
선생님 말씀하시다. 극기복례(克己復禮)하면 ‘인’이 되는 게지.
어느 날 문득 저를 이겨 예로 돌아오면, 온 천하가 ‘인’으로 귀의할 것이니, ‘인’이 저로부터 나오는 것이지, 남으로부터 나오는 것이겠느냐?
안연이 말하였다. 청컨데 그 세목을 여쭙습니다.
선생님 말씀하시다. 예(禮)가 아니면 보지 말고, 예가 아니면 듣지 말며, 예가 아니면 말하질 말고, 예가 아니면 움직이질 말아라.
안연이 말하였다. 제가 비록 명민하진 못하나, 청컨데 이 말씀을 일삼고자 합니다.

顏淵問仁。子曰:「克己復禮為仁。一日克己復禮,天下歸仁焉。為仁由己,而由人乎哉?」
顏淵曰:「請問其目。」子曰:「非禮勿視,非禮勿聽,非禮勿言,非禮勿動。」
顏淵曰:「回雖不敏,請事斯語矣。」

12-04
사마우가 군자를 여쭈었다.
선생님 말씀하시다. 군자란 근심하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는 존재이지.
(사마우가) 말을 받았다. 근심하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기만 하면, 곧 군자라는 말입니까?
선생님 말씀하시다. 안으로 살펴 잘못이 없다면, 대체 무얼 근심하고 또 무얼 두려워할 게 있단 말이냐!
司馬牛問君子。子曰:「君子不憂不懼。」
曰:「不憂不懼,斯謂之君子已乎?」
子曰:「內省不疚,夫何憂何懼?」

12-06
자장이 투명성(明)을 여쭈었다.
선생님 말씀하시다. 가슴에 젖어드는 참소와 살갗을 파고드는 하소연에 초연할 수 있다면 ‘투명하다’고 이를 수 있으리라. 정녕 가슴에 젖어드는 참소와 살갗을 파고드는 하소연에 초연할 수 있다면, ‘멀리 보는 안목을 가졌다(遠)’고 이를 수 있으리라.
子張問明。子曰:「浸潤之譖,膚受之愬,不行焉。可謂明也已矣。浸潤之譖膚受之愬不行焉,可謂遠也已矣。」

12-07
자공이 정치를 여쭈었다. 선생님 말씀하시다. 경제(食)를 넉넉히 하고, 안보(兵)를 튼튼히 하며, 백성들이 믿도록(信) 하는 것이지.
자공이 말하였다. 부득이 버려야 한다면 이 셋 가운데 무엇을 앞세우리까? 말씀하시다. 안보를 버려야지.
자공이 말하였다. 만부득이 버려야 한다면 나머지 둘 가운데서 또 무엇을 앞세우리까? 말씀하시다. 경제를 버려야지. 예로부터 죽음은 다 있게 마련이지만, 백성이 믿어주지 않으면 (공동체는) 성립하지 못하는 법이니.
子貢問政。子曰:「足食。足兵。民信之矣。」子貢曰:「必不得已而去,於斯三者何先?」曰:「去兵。」子貢曰:「必不得已而去,於斯二者何先?」曰:「去食。自古皆有死,民無信不立。」

12-16
선생님 말씀하시다. 군자는 남의 장점(美)은 이루게 하지만 단점(惡)은 고쳐준다. 소인은 그와 반대로 하나니.
子曰:「君子成人之美,不成人之惡。小人反是。」

12-19
계강자가 공자에게 정치를 물어 말했다. 만일 ‘무도한 놈들’을 죽여 ‘질서잡힌 세상’을 만들 수 있다면 어떻겠소?
공자가 대하여 말했다. 그대는 정치를 하겠다면서 어찌 죽이는 방법을 쓴단 말이오? 그대가 선(善)하고자 하면 백성들도 선하게 되리다.
군자의 속성은 바람이요, 소인의 속성은 풀인 것을. 풀 위로 바람이 불면 (풀은) 반드시 눕게 되어 있나니.
康子問政於孔子曰:「如殺無道,以就有道,何如?」 孔子對曰:「子為政,焉用殺?子欲善,而民善矣。君子之德風,小人之德草。草上之風,必偃。」

12-21-2
일을 우선 하고 그 소득을 뒤로 하는 것이 덕을 숭상함이 아니겠느냐?
제 잘못은 비판하되 남의 잘못은 꼬집지 않는 것이 간특함을 닦는 게 아니겠느냐?
하루아침의 분을 참지 못해 자신을 잊어버려 그 화가 어버이에게까지 미치는 것이 의혹에 빠진 게 아니겠느냐?
先事後得,非崇德與?攻其惡,無攻人之惡,非脩慝與?一朝之忿,忘其身,以及其親,非惑與?

12-23
자공이 벗을 여쭈었다.
선생님 말씀하시다. 곡진하게 깨우쳐주고 잘 이끌어주되, ‘아니다’ 싶으면 그만두는 관계지. 욕을 자초할 것은 없을 터이므로.
子貢問友。子曰:「忠告而善道之,不可則止,無自辱焉。」


자로(子路)

13-18
섭공이 공자에게 말하였다. 우리 마을(黨)에 행실이 정직한 사람이 있소이다. 그 아비가 양을 훔쳤는데, 자식이 고발하였다오.
공자 말씀하시다. 우리 마을의 정직은 그와 다르외다. 아비는 자식을 숨겨주고, 자식은 아비를 숨겨주지요. 정직은 그 가운데 있는 법.
葉公語孔子曰:「吾黨有直躬者,其父攘羊,而子證之。」孔子曰:「吾黨之直者異於是。父為子隱,子為父隱,直在其中矣。」

13-23
선생님 말씀하시다. 군자는 화합하되 같기를 요구하진 않고, 소인은 같아지길 요구하면서 화합하지는 않느니.
子曰:「君子和而不同,小人同而不和。」

13-24
자공이 여쭈었다. 마을 사람들이 다 좋아하면 어떻습니까?
선생님 말씀하시다. 충분하지 않다.
마을 사람들이 다 싫어하면 어떻습니까?
선생님 말씀하시다. 충분하지 않다. 마을 사람들 가운데 선한 자가 좋아하고, 선하지 않은 자가 싫어함만 못하느니.
子貢問曰:「鄉人皆好之,何如?」子曰:「未可也。」「鄉人皆惡之,何如?」子曰:「未可也。不如鄉人之善者好之,其不善者惡之。」

13-25
선생님 말씀하시다. 군자는 모시기는 쉬워도 기쁘게 하기는 어렵더니라. 기쁘게 하는 방법이 도(道)에 합당하지 않으면 기뻐하지 않지만, 아랫사람을 부릴 적엔 그 기량에 맞추더구나.
소인은 모시기는 어려워도 기쁘게 하기는 쉽더니라. 비록 기쁘게 하는 방법이 도에 합당하지 않아도 기뻐하지만, 아랫사람을 부릴 적엔 다 갖추기를 요구하더니.
子曰:「君子易事而難說也:說之不以道,不說也;及其使人也,器之。小人難事而易說也:說之雖不以道,說也;及其使人也,求備焉。」

13-26
선생님 말씀하시다. 군자는 태연하되 교만하지 않고, 소인은 교만하지만 태연하지 못하니라.
子曰:「君子泰而不驕,小人驕而不泰。」

13-27
선생님 말씀하시다. 강직하고, 굳세며, 질박하고, 어눌한 것이 인(仁)에 가깝더구나.
子曰:「剛 毅、木訥,近仁。」


헌문(憲問)

14-04
선생님 말씀하시다. 나라에 도(道)가 있으면 바른(危) 말과 바른 행동을 할 것이나, 나라에 도가 없으면 행동은 바로 하되 말은 공손히 할 것이니라.
子曰:「邦有道,危言危行;邦無道,危行言孫。」

14-5
선생님 말씀하시다. 덕 있는 자(有德者)는 반드시 (들을 만한)말이 있지만, 말 잘하는 자(有言者)가 반드시 덕이 있지는 않더구나.
인자(仁者)는 반드시 용기가 있지만, 용맹한 자라고 반드시 인(仁)이 있지는 않더니라.
子曰:「有德者,必有言。有言者,不必有德。仁者,必有勇。勇者,不必有仁。」

14-11
선생님 말씀하시다. 가난한데도 원망하지 않기는 어려워도, 넉넉하면서 뻐기지 않기는 쉬우니라.
子曰:「貧而無怨難,富而無驕易。」

14-32
선생님 말씀하시다.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근심하지 말고, 그 능하지 않음을 근심하거라.
子曰:「不患人之不己知,患其不能也。」

14-36
누군가 말했다. ‘원한을 덕으로써 갚는다.’는데 어떻습니까?
선생님 말씀하시다. (그러면) 덕은 무엇으로 갚겠느냐? 원한은 그에 합당한 것으로(直) 갚고, 덕은 덕으로써 갚는 것이다.
或曰:「以德報怨,何如?」 子曰:「何以報德?以直報怨,以德報德。」

14-45
자로가 군자를 여쭈었다. 선생님 말씀하시다. 경(敬)으로써 ‘스스로를 닦는(修己)’ 사람이지.
말했다. 그뿐입니까?
말씀하시다. 스스로를 닦아 남을 편안케 하는 것이지.
말했다. 그뿐입니까?
말씀하시다. 스스로를 닦에 백성들을 편안케 하는 것인데, 스스로를 닦아 만백성까지 편안케 하는 일은 요순임금도 어려워했던걸!
路問君子。子曰:「脩己以敬。」曰:「如斯而已乎?」曰:「脩己以安人。」曰:「如斯而已乎?」曰:「脩己以安百姓。脩己以安百姓,堯舜其猶病諸!」


위령공(衛靈公)

15-01-2,3
진(陳)에서 양식이 떨어져, 따르던 제자들이 영양실조로 일어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자로가 화가 나 (공자를) 뵙고 말하였다. 군자도 또한 곤궁하답니까?
선생님 말씀하시다. 군자라야 ‘짐짓 곤궁’할 수 있지. 소인은 궁하면 곧 넘치느니.
在陳絕糧,從者病,莫能興。子路慍見曰:「君子亦有窮乎?」子曰:「君子固窮,小人窮斯濫矣。」

15-07
선생님 말씀하시다. 더불어 말할 만한데 말하지 않으면 사람을 잃는 것이요, 더불어 말할 상대가 아닌데도 말하면 말을 잃는 것이다. 지혜로운 자는 사람도 잃지 않고, 또한 말도 잃지 않는 법.
子曰:「可與言而不與之言,失人;不可與言而與之言,失言。知者不失人,亦不失言。」

15-08
선생님 말씀하시다. 지사(志士)와 인인(仁人)은 삶을 구하기 위해 인(仁)을 해치지 아니하고, (도리어) 목숨을 바쳐 ‘인’을 이루는 법.
子曰:「志士仁人,無求生以害仁,有殺身以成仁。」

15-09
자공이 인(仁)을 닦는 방법을 여쭈었다.
선생님 말씀하시다. 공장이(工)가 제 일을 잘하려면 반드시 그 연장부터 벼리듯, 이 나라 대부(大夫)들 가운데 현명한 이를 섬기고, 사(士) 가운데 어진 이를 벗삼아야 할 것이야.
子貢問為仁。子曰:「工欲善其事,必先利其器。居是邦也,事其大夫之賢者,友其士之仁者。」

15-14
선생님 말씀하시다. 저 자신은 몹시 꾸짖고, 남 탓하기는 가볍게 한다면 원망을 멀리할 수 있으리라.
子曰:「躬自厚而薄責於人,則遠怨矣。」

15-17
선생님 말씀하시다. 군자란 의(義)로써 바탕을 삼고, 예(禮)에 합당하게 행동하며 공손(孫)하게 말하고, 믿음(信)으로써 완성하는 법. (그러면) 정녕 군자답다고 할 수 있으리라!
子曰:「君子義以為質,禮以行之,孫以出之,信以成之。君子哉!」

15-20
선생님 말씀하시다. 군자는 스스로에게서 (문제의 원인을) 구하고, 소인은 남으로부터 구하더구나.
子曰:「君子求諸己,小人求諸人。」

15-21
선생님 말씀하시다. 군자는 자부하되 다투지 않으며, 어울리되 패를 짓지는 않는다.
子曰:「君子矜而不爭,群而不黨。」

15-23
자공이 여쭈었다. 숨을 거둘 때까지 행할 만한 ‘한마디’가 있을는지요.
선생님 말씀하시다. 그건 서(恕)일 게야. 자신이 하고자 하지 않는 바를 남에게 베풀지 않는 것이지.
子貢問曰:「有一言而可以終身行之者乎?」子曰:「其恕乎!己所不欲,勿施於人。」

15-26
선생님 말씀하시다. 번지르르한 말은 덕(德)을 흐트리고, 작은 것을 참지 못하면 큰 계획을 망가뜨리는 법.
子曰:「巧言亂德,小不忍則亂大謀。」

15-30
선생님 말씀하시다. 내 일찍이 온종일 먹지 않고, 또 밤새도록 자지 않고 골똘히 생각하였어도 보탬이 없었다. 배우는 것만 못하였나니.
子曰:「吾嘗終日不食,終夜不寢,以思,無益,不如學也。」

15-31
선생님 말씀하시다. 군자는 도(道)를 추구하되, 먹을 것은 꾀하지 않는다. 농사를 지어도 굶주림이 그 가운데 있지만, 배우면 녹(祿)이 그 속에 있는 것. 군자는 도를 근심하지, 가난은 걱정하지 않는 법.
子曰:「君子謀道不謀食。耕也,餒在其中矣;學也,祿在其中矣。君子憂道不憂貧。」

15-33
선생님 말씀하시다. 군자는 ‘전문지식(小知)’은 없을망정 큰일은 맡을 수 있고, 소인은 큰일은 맡을 수 없어도 전문지식은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다.
子曰:「君子不可小知,而可大受也;小人不可大受,而可小知也。」

15-36
선생님 말씀하시다. 군자는 굳게 약속을 지키되, 사소한 약속에 목숨 걸지는 않는 것.
子曰:「君子貞而不諒。」

15-39
선생님 말씀하시다. 도(道)가 같지 아니하거든 함께 꾀하지를 말아야 하느니.
子曰:「道不同,不相為謀。」

15-40
선생님 말씀하시다. 말(辭)이란 (뜻이) 전달되면 그만인 것을!
子曰:「辭達而已矣。」


계씨(季氏)

16-01-8
내 듣기로, 국(國)이나 가(家)를 경영하는 자는 (생산량이) 부족한 것을 근심하지 않고, (분배가) 고르지 않음을 걱정하며, 또 가난이 아니라 (사회의) 불안을 걱정한다더구나. 대개 균등하면 가난한 줄 모르고, 화목하면 부족한 줄을 모르며, 평안하면 나라가 기울 수가 없는 법이니.
丘也聞有國有家者,不患寡而患不均,不患貧而患不安。蓋均無貧,和無寡,安無傾。

16-04
공자 말씀하시다. 이로운 벗이 세 가지요, 해로운 벗이 세 가지다. 정직한 이를 벗삼고, 신의가 깊은 이를 벗하며, 견문이 많은 이를 벗삼으면 이롭지만, 편견에 사로잡혔거나, 알랑대기 잘하거나, 말만 번지레한 이를 벗삼으면 해로우니라.
孔子曰:「益者三友,損者三友。友直,友諒,友多聞,益矣。友便辟,友善柔,友便佞,損矣。」

16-05
공자 말씀하시다. 이로운 좋아함이 셋이요. 해로운 좋아함이 세 가지다.
절제된 예와 악을 좋아하고, 남의 장점(善) 말하길 좋아하고, 어진 벗 많음을 좋아함이 이로운 것이다.
‘제멋대로 놀기(驕樂)’를 좋아하고, ‘방탕한 놀음(佚遊)’을 좋아하며 ‘먹고 퍼마시기(宴樂)’를 좋아함은 해로운 것이다.
孔子曰:「益者三樂,損者三樂。樂節禮樂,樂道人之善,樂多賢友,益矣。樂驕樂,樂佚遊,樂宴樂,損矣。」

16-07
공자 말씀하시다. 군자에게는 세 가지 경계(戒)할 것이 있다. 어려서는 혈기가 정해지지 않았으니 색(色)을 경계할 일이요, 장년에 이르러서는 혈기가 바야흐로 강해지니 다툼을 경계할 일이다. 늙어지면 혈기가 쇠하므로, 경계할 것은 탐욕(得)에 있나니라.
孔子曰:「君子有三戒:少之時,血氣未定,戒之在色;及其壯也,血氣方剛,戒之在鬭;及其老也,血氣既衰,戒之在得。」

16-10
공자 말씀하시다. 군자는 아홉 가지를 주의하느니라.
볼 때는 바로 본 것인지, 들을 땐 옳게 알아들었는지 주의하고, 남을 대하는 표정은 온화한지, 태도는 공손한지 주의한다. 말을 내 뱉을 때는 참된지, 일을 처리할 때는 조심스러운지, 의심이 날 땐 문제점이 뭔지를 생각하고, 분할 땐 어려운 시절을, 이득을 볼 땐 의(義)를 염두에 두느니.
孔子曰:「君子有九思:視思明,聽思聰,色思溫,貌思恭,言思忠,事思敬,疑思問,忿思難,見得思義。」

16-13
진항(陳亢)이 백어(魚曰)에게 물었다. 그대는 또 달리 들은 것이 있으신지?
대답하였다. 없습니다. 일찍이 (뜰에) 홀로 서 계시기에, 제가 뜰을 총총히 지나가고 있었습니다. 말씀하시길, “시(詩)를 배웠느냐”고 하시기에 “아직은요”라고 답했지요.
“시를 배우지 않으면 말을 할 수 없느니라”고 하시더이다. 저는 물러나서 시를 배웠습니다.
다른 날, 또 홀로 서 계시기에 저는 뜰을 총총히 지나갔습니다. “예(禮)를 배웠느냐”고 하시기에 “아직은요”라고 답하였습니다.
(이에) “예를 배우지 않으면 설 방도가 없느니라”고 하시더이다. 저는 물러나 예를 배웠습니다. 이 두 가지를 들었지요.
진항이 물러나 흐뭇해하며 말하였다. 하나를 물어 셋을 얻었구나. 시를 들었고, 예를 들었고, 또 군자는 그 자식을 멀리함을 들었노라.
陳亢問於伯魚曰:「子亦有異聞乎?」對曰:「未也。嘗獨立,鯉趨而過庭。曰:『學詩乎?』對曰:『未也。』『不學詩,無以言。』鯉退而學詩。他日又獨立,鯉趨而過庭。曰:『學禮乎?』對曰:『未也。』『不學禮,無以立。』鯉退而學禮。聞斯二者。」陳亢退而喜曰:「問一得三,聞詩,聞禮,又聞君子之遠其子也。」


양화(陽貨)

17-02
선생님 말씀하시다. 타고난 성품(性)은 서로 가까우나, 경험(習)이 서로 멀어지게 하느니.
子曰:「性相近也,習相遠也。」

17-06
자장이 공자에게 인(仁)을 여쭈었다.
공자 말씀하시다. 하늘 아래 어디서나 다섯 가지를 능히 행한다면 ‘인이 될(為仁)’것이다. 그 조목을 여쭈었다.
말씀하시다. 삼감(恭),너그러움(寬),미쁨(信),부지런함(敏),그리고 베풂(惠)이니라. 삼가면 업신당하지 않고, 너그러우면 사람을 얻고, 믿음직스러우면 사람들이 신임하고, 부지런하면 공을 이루고, 베풀다 보면 사람들을 너끈히 부릴 수 있는 법.
子張問仁於孔子。孔子曰:「能行五者於天下,為仁矣。」請問之。曰:「恭、寬、信、敏、惠。恭則不侮,寬則得眾,信則人任焉,敏則有功,惠則足以使人。」

17-08-2
인(仁)을 좋아한다면서 호학(好學)하지 아니하면 그 폐단은 어리석음(愚)이 되니라.
지혜(知)를 좋아한다면서 호학하지 아니하면 그 폐단은 허황함(蕩)이 되니라.
미쁨(信)을 좋아한다면서 호학하지 아니하면 그 폐단은 ‘사람 잡는 일(賊)’이 되니라.
정직(直)을 좋아한다면서 호학하지 아니하면 그 폐단은 ‘각박함(絞)’이 되니라.
용맹(勇)을 좋아한다면서 호학하지 아니하면 그 폐단은 ‘난장판(亂)’이 되니라.
강함(剛)을 좋아한다면서 호학하지 아니하면 그 폐단은 ‘광기(狂)’가 되니라.
好仁不好學,其蔽也愚;好知不好學,其蔽也蕩;好信不好學,其蔽也賊;好直不好學,其蔽也絞;好勇不好學,其蔽也亂;好剛不好學,其蔽也狂。

17-13
선생님 말씀하시다. 향원(鄉原)은 덕을 해치는 놈들이다.
子曰:「鄉原,德之賊也。」

17-24
자공이 말하였다. 군자도 미워하는 것이 있는지요?
선생님 말씀하시다. 미워하는 게 있지. 남의 잘못을 까발리는 짓, 낮은 데 있으면서 윗사람 헐뜯는 짓, 용맹하기만 하고 무례한 짓 그리고 과감하기만 하고 꽉 막힌 것을 미워하느니라.
(선생님) 말씀하시다. 자네도 미워하는 것이 있는가?
(자공이 답하였다.) 주워들은 걸로 자기 지식인 양 여기는 짓, 불손함을 용기로 아는 짓 그리고 고자질을 정직으로 여기는 것을 미워합니다.

子貢曰:「君子亦有惡乎?」子曰:「有惡:惡稱人之惡者,惡居下流而訕上者,惡勇而無禮者,惡果敢而窒者。」曰:「賜也亦有惡乎?」「惡徼以為知者,惡不孫以為勇者,惡訐以為直者。」

17-26
선생님 말씀하시다. 나의 사십이 되어서도 손가락질(惡)을 받으면, 그걸로 끝이다.
子曰:「年四十而見惡焉,其終也已。」


미자(微子)


-

자장(子張)

19-02
자장이 말하였다. 덕을 잡는 힘이 굳세지 않고 도를 믿음이 도탑지 않다면, 있는 것은 무엇이며, 없는 것은 또 무엇이랴!
子張曰:「執德不弘,信道不篤,焉能為有?焉能為亡?」

19-05
자하가 말하였다. 날마다 모르는 것을 배우고, 달마다 잘하게 된 것을 잊지 않는다면, 호학이라고 이를 만한 터.
夏曰:「日知其所亡,月無忘其所能,可謂好學也已矣。」


요왈(堯曰)

20-02-01
자장이 말하였다. 다섯 가지 미덕이란 무엇을 이르는 것인지요?
선생님 말씀하시다. 군자(의 다섯 가지 미덕이)란 베풀되 헤프지 않고, 백성을 부리되 원망받을 정도는 아니며, 바라되 탐내지 않고, 태연하되 교만하지 않고, 엄하되 사납지 않은 것이다.
子張曰:「何謂五美?」子曰:「君子惠而不費,勞而不怨,欲而不貪,泰而不驕,威而不猛。」

20-02-2
자장이 말했다. 네 가지 악덕이란 무엇을 이르는 것인지요?
선생님 말씀하시다. 가르치지 않고 죽이는 것을 모질다(虐)하고, 거리낌없이 성취하려 드는 것을 급작스럽다(暴) 하며, 알리기는 더디게 하면서 마감은 촉급하게 하는 것을 도둑(賊)이라 하고 (결국엔) 다 주고 말 걸 내줄 적에 꼼지락거리는 것을 좁쌀(有司)이라고 하지.
子張曰:「何謂四惡?」子曰:「不教而殺謂之虐;不戒視成謂之暴;慢令致期謂之賊;猶之與人也,出納之吝,謂之有司。」


논어 - 배병삼 주석

살아가는 방식이 같은 동행자, 같은 길을 걷는 도반(道伴), 또는 같은 뜻을 가진 사람(同志)이 붕(朋)이다. 그러니 ‘붕’이란 여태 한 번도 만나지 못했던 사람이어도 좋다. 일면식도 없지만 저 멀리서 ‘나의 길(my way)’을 알아서(전해 듣고서) 찾아와 동감을 표하거나 핵심을 찔러 비평해주는 사람, 그런 사람이 여기서 말하는 붕이다.

‘식무구포(食無求飽)’의 식(食)과 포(飽), ‘거무구안(居無求安)’의 거(居)와 안(安)은 인간의 ‘생존’과 ‘욕망’의 대척점을 상징한다. 먹음(食)과 거처함(居)은 인간의 생존을 위해 필요불가결한 것이지만, 이것이 배부름(飽)과 편안(安)으로 번져나갈 때, 욕구의 충족이라는 심리적 욕망으로 발전한다. 말하자면 의식주가 생리학적(physiological) 요구에서 심리학적(psychological) 욕구로 전환하게 된다. 여기에는 심리적 욕망(desire)과 육신적 필요물(necessity)을 구별하려는 유교의 가치 판단이 개입되어 있다.

공자 스스로 자기 삶을 약술한 자전(自傳)
* 열다섯에 배움에 뜻을 두다.(志于學)
* 삼십에 서다(而立)
* 사십에 의혹하지 않다.(不惑)
* 오십에 천명을 알다.(知天命)
* 육십에 귀가 순해지다. (耳順)
* 칠십에 ‘경우’를 넘지 않다. (從心所欲不踰矩)

문명은 관계로 이루어진다. 너와 나, 아버지와 나, 국가와 나 등등, 이런 관계들의 정제된 패턴이 예(禮)다. 문명의 바탕이 예라면, 그 바탕을 작동시키기 위해 약속한 신호체계가 신뢰(信)다. 예는 신뢰라는 소프트웨어가 작동하도록 만드는 하드웨어인 셈이다.

‘위에 있으면서 너그러워야 하는 것’이라고 하였을 때, ‘위(上)’는 지위(form=禮)를 뜻하고, ‘너그러움(寬)’은 그 지위를 채우는 내용물(contents)이 되는데, 위에서 지적한 3-3장의 인(仁)에 해당하는 것이다. 너그러움이란 것은 수납성을 말한다. 그리고 그 자체의 권력에 매물되는(淫) 상태를 벗어난 것이다.(樂而不淫). 즉 권력을 활용하면서도 권력과 거리를 둔 객관화의 시각을 가진 상태를 말한다.

군자는 ‘의/불의’를 좌표축으로 놓고 삶의 의미/무의미를 따지는 존재인 반면, 소인은 ‘이/불리’를 잣대로 놓고 삶의 가치를 따지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공자는 “종정(從政)=행정=전문가=구신(具臣)”의 계열과, “위정(爲政)=정치=통치자=대신(大臣)”의 계열을 분리하여 보고 있었다.

선비들이 옥구슬을 꼭 찼던 것은 스스로의 행동거지를 경책(警責)하기 위함이었다. 즉 걸을 때마다 부딪치는 옥구슬의 소리를 듣고 자신의 몸가짐을 성찰한 것이다. 차분하게 걸을 때는 규칙적으로 딸깍거리는 소리가 나겠지만, 마음이 바쁘거나 허둥거릴 때는 빠르고 흐트러진 소리가 나게 된다. 이렇게 부딪치는 옥소리를 듣고, 선비는 자기 행동과 마음가짐을 되돌아볼 기회를 얻게 되는 것이다.

고대 중국의 사서(史書)에 우리 민족의 특징으로서 ‘흰 옷을 입는다’고 특기했던 것은, 실은 ‘백색=순수’와 같은 등식이 아니라(즉 칭찬이 아니라), ‘상복을 일상복으로 입는 이상한 종족’이라는 뜻이 된다.

命(명) : 외교 문서. 한편 사(辭)는 명(命)과 다르다. 사(辭)는 사신이 남의 나라를 방문하여 응다하는 외교 문서(언어)이며, 명(命)이ㅣ란 자기 나라 임금에게서 타국을 향할 때 받는 외교 문서이다.

공자에게 인간 간의 약속(信)이 성립하기 위한 전제는 그것이 이치를 깔고 있는 합당한 것이거나 또는 이치를 위한 합리적인 것일 때 의미가 있는 것이지, 단지 약속이기 때문에 그에 얽매이는 것이어서는 안 되며(15-36), 더욱이 인간 간의 주종관계와 같은 권력적, 억압적 형태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공자는 이런식의 관계를 매우 비인간적이고 불건강한 억압구조로 이해하였다.

沐浴(목욕) : 머리를 감는 것을 목(沐), 몸을 씻는 것을 욕(浴)이라고 한다.

실은 과거의 전적(典籍) 이나 전통적 삶에 대한 전반적 이해는 거의 없이, 대략 어린 시절 보고 들은 것을 가지고 전통을 온통 살아낸 양 몸을 뒤로 젖히면서 ‘선비가 어쩌고 저쩌고’ 한다. 실은 이런 노인들 대부분이 내내 ‘자기를 중심에 두고 세상을 해석한 사람들’이었다(egocentrism). 젊어서는 청년운동, 늙어서는 노인운동을 하는 사람들. 이런 식으로 자기 중심적으로 세상을 해석하는 자들이 이 장의 그 도적(賊)에 해당한다.

자로의 키워드인 ‘역궁(亦窮)’ 즉 군자도 또한 곤궁한가요” (15-01-3)라는 질문은 오늘날 ‘대학을 나와도 취직조차 못 한다면 학문은 배워서 얻다 쓸 것인가’라는 ‘신지식인론’적 학문관과 근사한 것이다.
이에 반해 공자는 군자를 덕(德)을 획득한 존재로 보았다. 여기서 공자의 키워드인 고궁(固窮)즉 ‘짐짓 곤궁함’은, 입신양명이야 못 할 것도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눈길을 외부로부터 안으로 거둬들인다는 뜻이다.

‘원려’는 ‘내가 자발적으로 만든 주체적 근심’이라고 볼 수 있고, ‘근우’는 외부적 상황이 나에게 틈입하여 만들어진 비주체적 근심이라고 볼 수도 있을 법하다. 그런데 “인생이 고해(苦海)”라면 누구든 고민이 없는 사람이 없을 터이므로, 외부에서 틈입하는 근심(近憂)이 있기 전에, 자발적으로 만든 근심(近憂)으로써 ‘고민의 바다(苦海)’를 건너가는 것이 현명한 삶이라고도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인문학이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겠지만, 그 필수적 요소는 인간에 대한 총론적 이해에 있다. 그런 점에서 인문학적 사유란 전문가적(specialist)이기보다는 전관적(generalist)인 것이다.

신뢰란 곧 ‘말이 실천력을 확보한 것, 말이 힘을 가진 것(人+言=信)’이다.

[16-13 주석] 오늘날 유교에 대한 끈질긴 오해, 즉 공공의 업무를 혈연의 사사로움으로써 개입하여 망가뜨린다는 이른바 가족중심주의(familism)또는 연고주의(cronyism)를 유고의 탓으로 돌리는 주장들은 망발이라고 할 수 있다. 아니 적어도 ⌜논어⌟ 속에서는 그 근거를 찾을 수 없다.
차라리 이 대목이 말해주는 것은 서구에서 사사로운 영역으로 치부하는 가정에서조차 공공성을 관철하고 있다는 점에서, 반-가족중심주의(anti-familism)라고 이름 붙일 수 있거나, 달리 공자의 가족주의란 오히려 ‘가족마저도 공공의 영역으로 공개하고 있다는 뜻’이라는 정반대의 정의가 가능하게 된다. 요컨대 ‘유교=가족주의=공적 영역의 부패=크로니 캐피털리즘’이라는 근간의 항등식은 결코 경전적 근거를 갖지 못한 것이다.

[17-09 주석] 여기서 주목할 건은 관(觀), 즉 ‘사물을 보는 눈’을 시가 길러준다는 대목이다. 이것은 곧 시를 통해 대상을 ‘재발견’할 수 있다는 뜻이다. 러시아 형식주의 문학비평에서 논한 그 낯설기(defamiliarization)전략 으로서의 문학관과 여기서 일상과 대상을 ‘재발견하는’ 통로로서 시를 이해한 공자의 관점은 적이 부합한다.

어른이 되어 얻은 ‘공식적 이름(字)’은 중니(仲尼) 였다. 중니의 중(仲)이 ‘버금, 둘째’라는 뜻이므로, 여기서 그에게 형이 있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과연 눈/마음을 돌리기만 하면, 그 호젓함의 세계, 일상의 아름다움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일까? 정녕 공자가 살았던 전대미문의 혼란기였던 춘추시대나, 이른바 ‘21세기’를 건너는 오늘날 ‘정보화 사회’에서나(아니, 그 어느 시대인들)’실제 현실’은 눈/마음 돌리기만을 통해 호젓한 일상을 그냥 얻을 수는 없으리라. 춘추시다의 현실은, 기수에서 몸 씻고 무우에서 바람 쐬다 노래하며 돌아오고픈 “어른 대여섯”을 전쟁터로 내몰고, “어린아이 예닐곱”은 굶주려 죽도록 만든다. 그리고 ‘속도의 신’이 지배하는 오늘날에 와서 그런 호젓한 꿈은 퇴보와 나태로 낙인찍히고, 그런 꿈을 꾸는 “어린아이 예닐곱”과 “어른 대여섯”은 ‘정신병동’과 ‘원형감옥’(푸코) 속에 갇히기 일쑤다.

첫째, 말을 조심해서 하고 둘째, 한번 내뱉은 말은 꼭 실천하는 것, 이 두 가지가 정치력(political power)을 기르는 방법이다. 이 두 가지를 올바로 실천하면 자연히 주변 사람들이 그를 믿음직스럽게 여기게 되는데 이 믿음직스러움이 곧 신뢰요, 신뢰야말로 이 냉혹한 자본주의 사회에서도 ‘힘’이다. 그런데 문제는 정치가(행위의 주체)가 이 두 가지를 항상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행위를 검속할 기제를 자기 몸에 갖추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이다.


논어 - 인간관계


제자

  • 공야장(公冶長) : 공자의 사위. 양심범으로 감옥에 갔지만 그가 지은 죄 때문이 아니었다.
  • 남용(南容): 백규(白圭)를 여러번 반복하여 읊는 모습 덕에 공자의 조카사위가 되었다. 나라에 도가 있으면 버려져 있지 않을 것이고, 나라에 도가 없을지라도 죽음은 면하겠다고 했다.
  • 자천(子賤) : 높은 인격적 경지를 획득한 제자. 군자라고 칭했다.
  • 염옹(冉雍): 말재주는 없었으나, 정치적 능력이 탁월했다.
  • 칠조개(漆雕開): 집안 형편이 어려워서 공자가 벼슬자리를 구해주었으나, 자신이 아직 믿을만 하지 못하다며 마다했다.
  • 공서화(公西華): 외교 능력이 탁월했다.
  • 자장(子張): 재주가 높고 뜻이 컸으나, 지나치게 어려운 것을 애써 즐겨하였으므로 매양 중(中)을 지나쳤다.⌜논어집주⌟

덕행(德行)에 뛰어남

  • 안회(顔回): 안연. 가장 뛰어났던 제자. 자공이 말하길 안회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알고, 자신은 하나를 들으면 둘을 안다고 하였다. 안회가 죽자 공자는 하늘이 자기를 버렸다고 했을 만큼 아낀 제자였다.
  • 민자건(閔子騫) : 민자건의 부모형제의 말을 사람들이 헐뜯지 못할만큼 효자였다. 말은 적었지만, 말을 하면 반드시 이치에 적중한다고 공자가 칭찬했다.
  • 염백우(冉伯牛)
  • 중궁(仲弓)


언어(言語)에 뛰어남

  • 재여(宰予) : 재아. 말을 실천하지 않아 공자가 크게 꾸짖은 제자다. 언어에 뛰어났다.
  • 자공(子貢) : 용도적 존재에선 최고라며 제기 그릇 (호련 - 瑚璉)이라 칭해진 제자. 알거나(知) 좋아하는 수준(好)에 머물렀지만 즐기는 수준(樂)에는 이르지 못했다.


정사(政事)에 뛰어남

  • 자로(子路): 지성적으로는 그다지 뛰어나지 못했으나, 공자의 곁에서 몸과 마음으로 공경을 다한 제자이다. 용맹하여 군사를 맡길 만하다고 하였다. 우직한 성품이라 들은 것을 능숙히 실천하지 못하면, 또 들을까 걱정했다.
  • 염유(冉孺): 행정 능력이 탁월했다. 계씨의 세금 담당자가 되어 백성을 수탈하다가 파문 당한다.

문학(文學)에 뛰어남

  • 자유(子游)
  • 자하(子夏) : 독실히 믿고 삼가 지켰으나, 규모가 잘고 좁아서 매양 미치지 못하였다⌜논어집주⌟. 자장(師)과 자하(商)는 대립되는 성질의 제자이다. 자장은 지나치고, 자하는 미치지 못한다고 말하였다. 과유불급(過猶不及).

그 밖의 인물

  • 자산(子産) : 정나라의 대부로서 처신할 적엔 삼갔고, 윗사람을 섬길 적엔 공경하였고, 백성을 구휼할 적엔 은혜로웠으며, 백성을 부릴 적에는 의로웠다며 군자의 도를 넷이나 갖추었다고 칭찬했다.
  • 안평중(晏平仲) : 사람과의 사귐이 좋았다. 오래되어도 공경하였다.
  • 미생고(微生高) : 연인과 다리 밑에서 만나기로 약속하였는데, 당일 물이 불어 하천이 넘쳤는데도 그 약속에 연연하여 다리 기둥을 안은 채 익사하였다는 인물과 동일인으로 추정된다. 누가 식초를 얻으로 오니, 이웃집에서 얻어다 주었다고 한다. 정직하다면 집에 식초가 없다고 했을텐데, 있어 보이려고 남에 집에 가서 식초를 얻어다 주었으므로 정직하지 않다.
  • 공숙문자(公叔文子): 위나라 대부로서, 공손발(公孫拔). 시호는 문(文)인데 공자는 공숙문자의 시호를 가히 ‘문(文)’으로 이를 만하다고 하였다. 주자는 문(文)자의 뜻을 “이치에 따름으로써 빛나는 문채를 이룸順理而成章”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논어집주⌟.
  • 진문공(晉文公) :진 나라를 패자로 만든 군주로서 이름은 중이(重耳). 공자는 진문공을 속이고 올바르지 않았다고 평했다.
  • 제환공(齊桓公) : 진문공 이후 제나라를 중원의 패자로 만든 군주로 이름은 소백(小白).공자는 제환공을 올바르고 속이지 않았다고 평했다.
  • 신정(申棖): 공자 시대에 힘센 사람 하면 연상되던 사람.


논어 - 인용문

시경 - <백규(白圭)>
너희 인민을 질박케 하고, 너희, 통치자의 길을 삼가라.
이로서 사려없음을 경계하고, 너희 말 냄을 신중히 하라.
너희, 위의(威儀)를 조심하여, 부드럽고 아름답지 않음이 없게 하라.
흰 옥구슬의 흠은 오히려 갈아낼 수 있으려니와
사람이 내뱉은 말의 흠은 돌이킬 수 없다네.
质尔人民,谨尔侯度,用戒不虞。
慎尔出话,敬尔威仪,无不柔嘉.
白圭之玷, 尚可磨也;斯言之玷,不可为也.

단순하게 말하자. 발견이 없는 시, 생명력이 없다. 발견이 없는 시, 그것은 사산이다. 태어나자마자 죽는 시, 아니, 아예 죽어서 나오는 시. 좋은 시란 무엇인가. 어떤 시가 좋은 것인가. 좋은 시는 무엇 때문에 좋은 시인가. 이 간단치 않은 질문/자문 앞에다 나는 세 가지 시약이 든 병을 꺼내놓고는 한다. 고백과 묘사, 그리고 발견이라는 시약병 셋. (⋯⋯) 고백은 정직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정직할수록 고백은 아프다. 고백은 (원)죄의 아들이기 때문이다. 묘사는 운명적으로 대상에 종속한다. 그러나 대상과 하나(혹은 분리)되려고 하면 할수록 묘사는 차가워진다. 그리하여 고백의 끝, 누추할 때가 많다. 묘사의 끝, 묘사하려는 대상 앞에서 무릎 꿇을 때가 많다.
고백과 묘사의 장점은 아픔의 미학이다. 나는 아프다. 나는 이렇게/이토록/다른 아픔과 다르게 아프다, 라고 말하는 시들. 그러니 아픔의 미학, 아직 미성년이다. 아프다,라는 말(고백)을 버리고 이렇게(묘사)에만 머물 수도 있다. 그러나 묘사, 그것이 아무리 아름답다 하더라도 인간과 세계에 대하여 간섭하지 못한다. 생래적으로, 궁극적으로 묘사는 가치를 배제하는 까닭이다.
그렇다면? 발견이다. 문제는 발견이다. 발견을 외면하는 고백, 발견을 생산하지 못하는 묘사, 에너지가 없다. 고백과 묘사가 발견을 만날 때, 고백은 고백대로, 묘사는 묘사대로, 자기 형태와 생명을 획득한다. 그리고 이때, 발견은 고백과 묘사라는 구체적인 몸을 얻는다. 고백, 묘사, 발견이 이루어내는 단단하고 환한 구조물-트라이앵글. 고백이 내부/과거를 향한 들여다보기라면, 묘사는 타자/현재에 대한 집중이다. 고백이 윤리라면 묘사는 과학이다. 그러나 아직, 고백과 묘사는 완성체가 아니다. 고백과 묘사가 발견을 지향할 때, 그때부터 진화가 진행된다. 발견과 한 몸을 이루려는 그 길 위에서 한방울, 한 줌, 마침내 한 문장의 발견이 태어난다. 시간과 공간의 전부를 품어안은 발견, 전체를 가리키는 하나, 하나 속에 들어앉은 전체.
이 발견 앞에서 인간과 세계는 아프다. 매우 낯익은 것들이 돌연, 낯설어진다. 나는 내가 아니고, 너는 네가 아니고, 나무는 나무가 아니고, 산은 산이 아니고, 물은 물이 아니다. (⋯⋯) 돌연한, 기쁜 아픔, 이 기쁜 아픔을 제공하는 시만이 공간과 시간을 견뎌낸다. 시의 자궁은 고백과 묘사, 그리고 발견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 발견이 없는 시, 시간을 견뎌내지 못한다. 고백과 묘사와 발견이 이루는 황금의 트라이앵글을 벗어난 시, 당대를 견뎌내지 못한다. 그런데, 이 발견은 얼마나 단순한 것인가. 그런데, 이 단순함은 도달하기가 또 얼마나 지난한 단순함인가.(이문재, ⌜작품 해설- 소금인형에서 소금으로⌟⌜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 101~103쪽)

향원이란 더러운 세속에 몸을 담그고 탁한 세상과 호흡을 맞추어 살아가는데, 그 처신하는 겉모습은 성실하고 신의가 있는 듯 보이고, 그 행동하는 겉모습도 청렴결백한 듯하므로, 일반 백성들은 그를 좋아하고, 그 자신도 자기가 옳고 바른 사람인 양 여기지만, 이런 자들이야말로 도저히 요순의 도에 함께 들어갈 수 없는 자들이니, 그래서 ‘덕을 해치는 자들’이라고 하는 것이다.(⌜맹자⌟ 7b-34)

찬수개화(鑽燧改火)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마다 매번 나무를 바꿔 새롭게 불을 지피는 것이다. 봄에는 느릅나무(楡) 버드나무(柳), 여름에는 대추나무(棗) 은행나무(杏), 늦여름에는 뽕나무(桑), 산뽕나무(柘), 가을에는 떡갈나무(柞) 졸참나무(楢), 겨울에는 홰나무(槐) 박달나무(檀)의 불을 썼다. 계절마다 그 나무의 질에 따라 바꾸었으므로 ‘개화(改火)’라 한 것인데 먼 옛날무터 한대(漢代)에까지 행해지다가 위진(魏晋) 이후 사라졌는데 수문제(隋 文帝) 때 복구되었다가 그 이후에는 완전히 사라졌다.”
모로하시諸橋轍次, ⌜대한화사전大漢和辭典 ⌟, ‘찬鑽’조)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육체와 영혼, 물질과 정신의 임계상태 저 너머에서 일어나는 변화, 이것이 ‘메토이소노’다. 물리적, 화학적 변화 너머에 존재하는 변화, ‘거룩하게 되기’가 바로 이것이다. 포도가 포도즙이 되는 것은 물리적인 변화다. 포도즙이 마침내 포도주가 되는 것은 화학적인 변화다. 포도주가 사랑이 되고, 성체(聖體)가 되는 것, 이것이 바로 ‘메토이소노’이다. (이윤기, ⌜무지개와 프리즘⌟, 35쪽)


논어 - 원문

http://ctext.org/analects/zh



by


Tags : , , , , ,

  •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광고를 클릭해주시면,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