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벼운 번역 위젯(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을 만들었습니다. 블로그는 물론, 웹사이트라면 어느 곳에나 달 수 있습니다.


Do you want to see a International version? Click here.

검색엔진을 통해 필요한 것을 찾다 보면,
반드시 자국어로 된 사이트만 찾아 주는 것이 아닙니다.
글로벌 시대의 인터넷엔 국경이 없기 때문이죠.
전혀 알 수 없는 언어로 쓰여진 사이트에 들어갔을 때,
번역을 지원한다면, 좀 더 머물게 됩니다.
필요한 자료를 찾아 들어온 방문자 이니까요.
완벽한 번역이 아니라도, 몇몇 키워드 만으로도 충분히 원하는 내용을 얻어 나갈 수 있습니다.
가벼운 번역 위젯으로 전세계의 방문자들과 소통하세요!
by 月風

가벼운 번역 위젯 (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한국어 블로그, 웹사이트용  번역 위젯

한국어 블로그,웹사이트용 가벼운 번역 위젯(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에선 8개 언어로 번역을 지원합니다.
우선 국제 연합(UN)의 여섯 개 언어 번역을 지원합니다.
그리고 형제의 나라 터키어로 번역을 지원하고,
마지막으로 이웃 나라 일본어 번역을 지원합니다.

가벼운 번역 위젯 사용법

  1. 원하는 배경색과 모양을 선택합니다.
  2. 코드를 복사하여 위젯 페이지나, 웹페이지의 원하는 부분에 붙여넣습니다.
  3. 잘 사용합니다.

가벼운 번역 위젯의 특징

  • 단순합니다.
  • 직관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 가볍습니다. (HTTP 요청을 줄여주는CSS Sprite를 사용 했습니다.)

한 줄 모양의 번역 위젯

'가벼운 번역 위젯 (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웹사이트의 상단이나 하단 메뉴, 툴바에 붙이기 좋습니다.
혹은 글의 상단,하단에 붙이기 좋은 모양의 번역 위젯 입니다.

흰색 배경 사용자를 위한 구글 번역 위젯
(Single line style google translate widget for korean with white background)
<style>
#google_translate_bar a{background-image:url('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j12vmtNK0PBSz9UZX1tXkHFtsgIle6W3GPI9YYBq1zwJsOZ2SdtmTPBrTW6vHVcyvymV3Qi-zvOpbmW79TLWAvD7EjGVUZRBaEEcuk6Fu2u2JGLMsojLVCggQfxg9D-I7GjDs6/');background-repeat: no-repeat; height: 32px;width:32px;display:block;float:left;}
#google_translate_bar a.english_tr { background-position: 0 0;}
#google_translate_bar a:hover.english_tr {background-position: 0 -32px;}
#google_translate_bar a.spanish_tr { background-position: 0 -6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spanish_tr {background-position: 0 -96px;}
#google_translate_bar a.french_tr { background-position: 0 -128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french_tr {background-position: 0 -160px;}
#google_translate_bar a.arabic_tr { background-position: 0 -192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arabic_tr {background-position: 0 -224px;}
#google_translate_bar a.russian_tr { background-position: 0 -256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russian_tr {background-position: 0 -288px;}
#google_translate_bar a.turkish_tr { background-position: 0 -320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turkish_tr {background-position: 0 -352px;}
#google_translate_bar a.chi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38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chinese_tr {background-position: 0 -416px;}
#google_translate_bar a.japa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448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japanese_tr {background-position: 0 -480px;}
</style>
<span style="font-size:14px;font-weight:bold;float:left;display:block;padding-top:4px;padding-right:12px;">번역(Translate to) </span><div id='google_translate_bar'>
<a class="english_tr" href="#" title="영어(English)" onclick="google_translate('en')"></a>
<a class="spanish_tr" href="#" title="스페인어(Español)" onclick="google_translate('es')"></a>
<a class="french_tr" href="#" title="불어(français)" onclick="google_translate('fr')"></a>
<a class="arabic_tr" href="#" title="아랍어(العربية)" onclick="google_translate('ar')"></a>
<a class="russian_tr" href="#" title="러시아어(русский язык)" onclick="google_translate('ru')"></a>
<a class="turkish_tr" href="#" title="터키어(Türkçe)" onclick="google_translate('tr')"></a>
<a class="chinese_tr" href="#" title="중국어(中文)" onclick="google_translate('zh-CN')"></a>
<a class="japanese_tr" href="#" title="일본어(日本語)" onclick="google_translate('ja')"></a>
</div><span style="font-size:12x;float:left;display:block;padding-top:5px;padding-left:12px;">Created by<a rel="license" href="http://www.dorajistyle.pe.kr/2011/08/lightweight-translation-widget.html" target="_blank" title="">月風</a></span>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unction google_translate(language){
window.open('http://translate.google.com/translate?u='+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hl='+language+'&ie=UTF8&tbb=1&langpair=auto%7C'+language);
return false;
}
//]]>
</script>


검정색 배경 사용자를 위한 구글 번역 위젯
(Single line style google translate widget for korean with black background)

<style>
#google_translate_bar a{background-image:url('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CXrBcGKozcUEAEVuCvvjh6mQUjQui5kfF5nksRnp9rBiiaMpBF5Xl_7gGvdDeaYRuyZ5SOpApaJ6uEn0LZgKfZ6drqjAEXpn5e7cueqvoiDxiXnoaF6aRaa_mCmxRgG7gxBmL/');background-repeat: no-repeat; height: 32px;width:32px;display:block;float:left;}
#google_translate_bar a.english_tr { background-position: 0 0;}
#google_translate_bar a:hover.english_tr {background-position: 0 -32px;}
#google_translate_bar a.spanish_tr { background-position: 0 -6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spanish_tr {background-position: 0 -96px;}
#google_translate_bar a.french_tr { background-position: 0 -128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french_tr {background-position: 0 -160px;}
#google_translate_bar a.arabic_tr { background-position: 0 -192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arabic_tr {background-position: 0 -224px;}
#google_translate_bar a.russian_tr { background-position: 0 -256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russian_tr {background-position: 0 -288px;}
#google_translate_bar a.turkish_tr { background-position: 0 -320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turkish_tr {background-position: 0 -352px;}
#google_translate_bar a.chi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38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chinese_tr {background-position: 0 -416px;}
#google_translate_bar a.japa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448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japanese_tr {background-position: 0 -480px;}
</style>
<span style="font-size:14px;font-weight:bold;float:left;display:block;padding-top:4px;padding-right:12px;">번역(Translate to) </span><div id='google_translate_bar'>
<a class="english_tr" href="#" title="영어(English)" onclick="google_translate('en')"></a>
<a class="spanish_tr" href="#" title="스페인어(Español)" onclick="google_translate('es')"></a>
<a class="french_tr" href="#" title="불어(français)" onclick="google_translate('fr')"></a>
<a class="arabic_tr" href="#" title="아랍어(العربية)" onclick="google_translate('ar')"></a>
<a class="russian_tr" href="#" title="러시아어(русский язык)" onclick="google_translate('ru')"></a>
<a class="turkish_tr" href="#" title="터키어(Türkçe)" onclick="google_translate('tr')"></a>
<a class="chinese_tr" href="#" title="중국어(中文)" onclick="google_translate('zh-CN')"></a>
<a class="japanese_tr" href="#" title="일본어(日本語)" onclick="google_translate('ja')"></a>
</div><span style="font-size:12x;float:left;display:block;padding-top:5px;padding-left:12px;">Created by<a rel="license" href="http://www.dorajistyle.pe.kr/2011/08/lightweight-translation-widget.html" target="_blank" title="">月風</a></span>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unction google_translate(language){
window.open('http://translate.google.com/translate?u='+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hl='+language+'&ie=UTF8&tbb=1&langpair=auto%7C'+language);
return false;
}
//]]>
</script>


흰색 배경 사용자를 위한 마이크로 소프트 번역기 위젯
(Oneline style microsoft translator widget for korean with white background)

<style>
#microsoft_translator_bar a{background-image:url('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j12vmtNK0PBSz9UZX1tXkHFtsgIle6W3GPI9YYBq1zwJsOZ2SdtmTPBrTW6vHVcyvymV3Qi-zvOpbmW79TLWAvD7EjGVUZRBaEEcuk6Fu2u2JGLMsojLVCggQfxg9D-I7GjDs6/');background-repeat: no-repeat; height: 32px;width:32px;display:block;float:left;}
#microsoft_translator_bar a.english_tr { background-position: 0 0;}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english_tr {background-position: 0 -3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spanish_tr { background-position: 0 -6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spanish_tr {background-position: 0 -9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french_tr { background-position: 0 -12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french_tr {background-position: 0 -16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arabic_tr { background-position: 0 -19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arabic_tr {background-position: 0 -22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russian_tr { background-position: 0 -25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russian_tr {background-position: 0 -28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turkish_tr { background-position: 0 -32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turkish_tr {background-position: 0 -35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chi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38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chinese_tr {background-position: 0 -41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japa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44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japanese_tr {background-position: 0 -480px;}
</style>
<span style="font-size:14px;font-weight:bold;float:left;display:block;padding-top:4px;padding-right:12px;">번역(Translate to) </span><div id='microsoft_translator_bar'>
<a class="english_tr" href="#" title="영어(English)" onclick="microsoft_translator('en')"></a>
<a class="spanish_tr" href="#" title="스페인어(Español)" onclick="microsoft_translator('es')"></a>
<a class="french_tr" href="#" title="불어(français)" onclick="microsoft_translator('fr')"></a>
<a class="arabic_tr" href="#" title="아랍어(العربية)" onclick="microsoft_translator('ar')"></a>
<a class="russian_tr" href="#" title="러시아어(русский язык)" onclick="microsoft_translator('ru')"></a>
<a class="turkish_tr" href="#" title="터키어(Türkçe)" onclick="microsoft_translator('tr')"></a>
<a class="chinese_tr" href="#" title="중국어(中文)" onclick="microsoft_translator('zh-CN')"></a>
<a class="japanese_tr" href="#" title="일본어(日本語)" onclick="microsoft_translator('ja')"></a>
</div><span style="font-size:12x;float:left;display:block;padding-top:5px;padding-left:12px;">Created by<a rel="license" href="http://www.dorajistyle.pe.kr/2011/08/lightweight-translation-widget.html" target="_blank" title="">月風</a></span>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unction microsoft_translator(language){
window.open('http://www.microsofttranslator.com/bv.aspx?ref=Internal&a='+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from=&to='+language);
return false;
}
//]]>
</script>


검은색 배경 사용자를 위한 마이크로 소프트 번역기 위젯
(Single line style microsoft translator widget for korean with black background)
<style>
#microsoft_translator_bar a{background-image:url('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CXrBcGKozcUEAEVuCvvjh6mQUjQui5kfF5nksRnp9rBiiaMpBF5Xl_7gGvdDeaYRuyZ5SOpApaJ6uEn0LZgKfZ6drqjAEXpn5e7cueqvoiDxiXnoaF6aRaa_mCmxRgG7gxBmL/');background-repeat: no-repeat; height: 32px;width:32px;display:block;float:left;}
#microsoft_translator_bar a.english_tr { background-position: 0 0;}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english_tr {background-position: 0 -3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spanish_tr { background-position: 0 -6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spanish_tr {background-position: 0 -9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french_tr { background-position: 0 -12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french_tr {background-position: 0 -16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arabic_tr { background-position: 0 -19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arabic_tr {background-position: 0 -22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russian_tr { background-position: 0 -25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russian_tr {background-position: 0 -28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turkish_tr { background-position: 0 -32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turkish_tr {background-position: 0 -35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chi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38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chinese_tr {background-position: 0 -41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japa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44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japanese_tr {background-position: 0 -480px;}
</style>
<span style="font-size:14px;font-weight:bold;float:left;display:block;padding-top:4px;padding-right:12px;">번역(Translate to) </span><div id='microsoft_translator_bar'>
<a class="english_tr" href="#" title="영어(English)" onclick="microsoft_translator('en')"></a>
<a class="spanish_tr" href="#" title="스페인어(Español)" onclick="microsoft_translator('es')"></a>
<a class="french_tr" href="#" title="불어(français)" onclick="microsoft_translator('fr')"></a>
<a class="arabic_tr" href="#" title="아랍어(العربية)" onclick="microsoft_translator('ar')"></a>
<a class="russian_tr" href="#" title="러시아어(русский язык)" onclick="microsoft_translator('ru')"></a>
<a class="turkish_tr" href="#" title="터키어(Türkçe)" onclick="microsoft_translator('tr')"></a>
<a class="chinese_tr" href="#" title="중국어(中文)" onclick="microsoft_translator('zh-CN')"></a>
<a class="japanese_tr" href="#" title="일본어(日本語)" onclick="microsoft_translator('ja')"></a>
</div><span style="font-size:12x;float:left;display:block;padding-top:5px;padding-left:12px;">Created by<a rel="license" href="http://www.dorajistyle.pe.kr/2011/08/lightweight-translation-widget.html" target="_blank" title="">月風</a></span>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unction microsoft_translator(language){
window.open('http://www.microsofttranslator.com/bv.aspx?ref=Internal&a='+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from=&to='+language);
return false;
}
//]]>
</script>



사이드바 모양의 번역 위젯

블로그의 사이드바에 적합한 모양의 위젯입니다.

'가벼운 번역 위젯 (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흰색 배경 사용자를 위한 구글 번역 위젯
(Sidebar style google translate widget for korean with white background)
<style>
#google_translate_bar a{background-image:url('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j12vmtNK0PBSz9UZX1tXkHFtsgIle6W3GPI9YYBq1zwJsOZ2SdtmTPBrTW6vHVcyvymV3Qi-zvOpbmW79TLWAvD7EjGVUZRBaEEcuk6Fu2u2JGLMsojLVCggQfxg9D-I7GjDs6/');background-repeat: no-repeat; height: 32px;width:32px;display:block;float:left;}
#google_translate_bar a.english_tr { background-position: 0 0;}
#google_translate_bar a:hover.english_tr {background-position: 0 -32px;}
#google_translate_bar a.spanish_tr { background-position: 0 -6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spanish_tr {background-position: 0 -96px;}
#google_translate_bar a.french_tr { background-position: 0 -128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french_tr {background-position: 0 -160px;}
#google_translate_bar a.arabic_tr { background-position: 0 -192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arabic_tr {background-position: 0 -224px;}
#google_translate_bar a.russian_tr { background-position: 0 -256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russian_tr {background-position: 0 -288px;}
#google_translate_bar a.turkish_tr { background-position: 0 -320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turkish_tr {background-position: 0 -352px;}
#google_translate_bar a.chi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38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chinese_tr {background-position: 0 -416px;}
#google_translate_bar a.japa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448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japanese_tr {background-position: 0 -480px;}
</style>
<span style="font-size:14px;font-weight:bold;padding-bottom:8px;padding-left:6px;">번역(Translate to) </span><br/><br/>
<div id='google_translate_bar'>
<a class="english_tr" href="#" title="영어(English)" onclick="google_translate('en')"></a>
<a class="spanish_tr" href="#" title="스페인어(Español)" onclick="google_translate('es')"></a>
<a class="french_tr" href="#" title="불어(français)" onclick="google_translate('fr')"></a>
<a class="arabic_tr" href="#" title="아랍어(العربية)" onclick="google_translate('ar')"></a>
<br/><br/>
<a class="russian_tr" href="#" title="러시아어(русский язык)" onclick="google_translate('ru')"></a>
<a class="turkish_tr" href="#" title="터키어(Türkçe)" onclick="google_translate('tr')"></a>
<a class="chinese_tr" href="#" title="중국어(中文)" onclick="google_translate('zh-CN')"></a>
<a class="japanese_tr" href="#" title="일본어(日本語)" onclick="google_translate('ja')"></a>
</div><br/><br/>
<span style="font-size:12x;padding-top:-2px;padding-left:32px;">Created by<a rel="license" href="http://www.dorajistyle.pe.kr/2011/08/lightweight-translation-widget.html" target="_blank" title="">月風</a></span>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unction google_translate(language){
window.open('http://translate.google.com/translate?u='+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hl='+language+'&ie=UTF8&tbb=1&langpair=auto%7C'+language);
return false;
}
//]]>
</script>


검은색 배경 사용자를 위한 구글 번역 위젯
(Sidebar style google translate widget for korean with black background)
<style>
#google_translate_bar a{background-image:url('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CXrBcGKozcUEAEVuCvvjh6mQUjQui5kfF5nksRnp9rBiiaMpBF5Xl_7gGvdDeaYRuyZ5SOpApaJ6uEn0LZgKfZ6drqjAEXpn5e7cueqvoiDxiXnoaF6aRaa_mCmxRgG7gxBmL/');background-repeat: no-repeat; height: 32px;width:32px;display:block;float:left;}
#google_translate_bar a.english_tr { background-position: 0 0;}
#google_translate_bar a:hover.english_tr {background-position: 0 -32px;}
#google_translate_bar a.spanish_tr { background-position: 0 -6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spanish_tr {background-position: 0 -96px;}
#google_translate_bar a.french_tr { background-position: 0 -128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french_tr {background-position: 0 -160px;}
#google_translate_bar a.arabic_tr { background-position: 0 -192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arabic_tr {background-position: 0 -224px;}
#google_translate_bar a.russian_tr { background-position: 0 -256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russian_tr {background-position: 0 -288px;}
#google_translate_bar a.turkish_tr { background-position: 0 -320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turkish_tr {background-position: 0 -352px;}
#google_translate_bar a.chi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38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chinese_tr {background-position: 0 -416px;}
#google_translate_bar a.japa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448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japanese_tr {background-position: 0 -480px;}
</style>
<span style="font-size:14px;font-weight:bold;padding-bottom:8px;padding-left:6px;">번역(Translate to) </span><br/><br/>
<div id='google_translate_bar'>
<a class="english_tr" href="#" title="영어(English)" onclick="google_translate('en')"></a>
<a class="spanish_tr" href="#" title="스페인어(Español)" onclick="google_translate('es')"></a>
<a class="french_tr" href="#" title="불어(français)" onclick="google_translate('fr')"></a>
<a class="arabic_tr" href="#" title="아랍어(العربية)" onclick="google_translate('ar')"></a>
<br/><br/>
<a class="russian_tr" href="#" title="러시아어(русский язык)" onclick="google_translate('ru')"></a>
<a class="turkish_tr" href="#" title="터키어(Türkçe)" onclick="google_translate('tr')"></a>
<a class="chinese_tr" href="#" title="중국어(中文)" onclick="google_translate('zh-CN')"></a>
<a class="japanese_tr" href="#" title="일본어(日本語)" onclick="google_translate('ja')"></a>
</div><br/><br/>
<span style="font-size:12x;padding-top:-2px;padding-left:32px;">Created by<a rel="license" href="http://www.dorajistyle.pe.kr/2011/08/lightweight-translation-widget.html" target="_blank" title="">月風</a></span>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unction google_translate(language){
window.open('http://translate.google.com/translate?u='+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hl='+language+'&ie=UTF8&tbb=1&langpair=auto%7C'+language);
return false;
}
//]]>
</script>


흰색 배경 사용자를 위한 마이크로소프트 번역기 위젯
(Sidebar style microsoft translator widget for korean with white background)
<style>
#microsoft_translator_bar a{background-image:url('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j12vmtNK0PBSz9UZX1tXkHFtsgIle6W3GPI9YYBq1zwJsOZ2SdtmTPBrTW6vHVcyvymV3Qi-zvOpbmW79TLWAvD7EjGVUZRBaEEcuk6Fu2u2JGLMsojLVCggQfxg9D-I7GjDs6/');background-repeat: no-repeat; height: 32px;width:32px;display:block;float:left;}
#microsoft_translator_bar a.english_tr { background-position: 0 0;}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english_tr {background-position: 0 -3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spanish_tr { background-position: 0 -6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spanish_tr {background-position: 0 -9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french_tr { background-position: 0 -12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french_tr {background-position: 0 -16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arabic_tr { background-position: 0 -19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arabic_tr {background-position: 0 -22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russian_tr { background-position: 0 -25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russian_tr {background-position: 0 -28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turkish_tr { background-position: 0 -32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turkish_tr {background-position: 0 -35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chi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38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chinese_tr {background-position: 0 -41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japa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44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japanese_tr {background-position: 0 -480px;}
</style>
<span style="font-size:14px;font-weight:bold;padding-bottom:8px;padding-left:6px;">번역(Translate to) </span><br/><br/>
<div id='microsoft_translator_bar'>
<a class="english_tr" href="#" title="영어(English)" onclick="microsoft_translator('en')"></a>
<a class="spanish_tr" href="#" title="스페인어(Español)" onclick="microsoft_translator('es')"></a>
<a class="french_tr" href="#" title="불어(français)" onclick="microsoft_translator('fr')"></a>
<a class="arabic_tr" href="#" title="아랍어(العربية)" onclick="microsoft_translator('ar')"></a>
<br/><br/>
<a class="russian_tr" href="#" title="러시아어(русский язык)" onclick="microsoft_translator('ru')"></a>
<a class="turkish_tr" href="#" title="터키어(Türkçe)" onclick="microsoft_translator('tr')"></a>
<a class="chinese_tr" href="#" title="중국어(中文)" onclick="microsoft_translator('zh-CN')"></a>
<a class="japanese_tr" href="#" title="일본어(日本語)" onclick="microsoft_translator('ja')"></a>
</div><br/><br/>
<span style="font-size:12x;padding-top:-2px;padding-left:32px;">Created by<a rel="license" href="http://www.dorajistyle.pe.kr/2011/08/lightweight-translation-widget.html" target="_blank" title="">月風</a></span>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unction microsoft_translator(language){
window.open('http://translate.google.com/translate?u='+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hl='+language+'&ie=UTF8&tbb=1&langpair=auto%7C'+language);
return false;
}
//]]>
</script>


검정색 배경 사용자를 위한 마이크로소프트 번역기 위젯
(Sidebar style microsoft translator widget for korean with black background)
<style>
#microsoft_translator_bar a{background-image:url('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CXrBcGKozcUEAEVuCvvjh6mQUjQui5kfF5nksRnp9rBiiaMpBF5Xl_7gGvdDeaYRuyZ5SOpApaJ6uEn0LZgKfZ6drqjAEXpn5e7cueqvoiDxiXnoaF6aRaa_mCmxRgG7gxBmL/');background-repeat: no-repeat; height: 32px;width:32px;display:block;float:left;}
#microsoft_translator_bar a.english_tr { background-position: 0 0;}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english_tr {background-position: 0 -3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spanish_tr { background-position: 0 -6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spanish_tr {background-position: 0 -9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french_tr { background-position: 0 -12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french_tr {background-position: 0 -16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arabic_tr { background-position: 0 -19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arabic_tr {background-position: 0 -22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russian_tr { background-position: 0 -25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russian_tr {background-position: 0 -28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turkish_tr { background-position: 0 -32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turkish_tr {background-position: 0 -35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chi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38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chinese_tr {background-position: 0 -41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japa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44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japanese_tr {background-position: 0 -480px;}
</style>
<span style="font-size:14px;font-weight:bold;padding-bottom:8px;padding-left:6px;">번역(Translate to) </span><br/><br/>
<div id='microsoft_translator_bar'>
<a class="english_tr" href="#" title="영어(English)" onclick="microsoft_translator('en')"></a>
<a class="spanish_tr" href="#" title="스페인어(Español)" onclick="microsoft_translator('es')"></a>
<a class="french_tr" href="#" title="불어(français)" onclick="microsoft_translator('fr')"></a>
<a class="arabic_tr" href="#" title="아랍어(العربية)" onclick="microsoft_translator('ar')"></a>
<br/><br/>
<a class="russian_tr" href="#" title="러시아어(русский язык)" onclick="microsoft_translator('ru')"></a>
<a class="turkish_tr" href="#" title="터키어(Türkçe)" onclick="microsoft_translator('tr')"></a>
<a class="chinese_tr" href="#" title="중국어(中文)" onclick="microsoft_translator('zh-CN')"></a>
<a class="japanese_tr" href="#" title="일본어(日本語)" onclick="microsoft_translator('ja')"></a>
</div><br/><br/>
<span style="font-size:12x;padding-top:-2px;padding-left:32px;">Created by<a rel="license" href="http://www.dorajistyle.pe.kr/2011/08/lightweight-translation-widget.html" target="_blank" title="">月風</a></span>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unction microsoft_translator(language){
window.open('http://translate.google.com/translate?u='+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hl='+language+'&ie=UTF8&tbb=1&langpair=auto%7C'+language);
return false;
}
//]]>
</script>


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International Version

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support 12 languages.
Six Official languages of the United Nations.
And four languages based on Global Internet usage language.
Also two languages based on population of native speakers.

How to use

  1. Choose a widget style.
  2. Copy and Paste one of the code into your website or blog widget page.
  3. Finish

Features

  • Simple
  • Intuitive UI
  • Lightweight (using CSS Sprite)

Single line style translation widget


'가벼운 번역 위젯 (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Single line style google translate widget with white background
<style>
#google_translate_bar a{background-image:url('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h56-dicAlqqfDSiJl7VG-Fxcg2uu-CTMvqy49aiyqNDtU-jsOQ695y6dwJBLUQQR4JF_mcaL6H9md7gdX-817O1eUVzbP9GL3dbPoJEFn1D5InMLaafmG4WeYfJ87lxkMNbZWD/');background-repeat: no-repeat; height: 32px;width:32px;display:block;float:left;}
#google_translate_bar a.english_tr { background-position: 0 0;}
#google_translate_bar a:hover.english_tr {background-position: 0 -32px;}
#google_translate_bar a.spanish_tr { background-position: 0 -6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spanish_tr {background-position: 0 -96px;}
#google_translate_bar a.portuguese_tr { background-position: 0 -128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portuguese_tr {background-position: 0 -160px;}
#google_translate_bar a.french_tr { background-position: 0 -192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french_tr {background-position: 0 -224px;}
#google_translate_bar a.german_tr { background-position: 0 -256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german_tr {background-position: 0 -288px;}
#google_translate_bar a.russian_tr { background-position: 0 -320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russian_tr {background-position: 0 -352px;}
#google_translate_bar a.arabic_tr { background-position: 0 -38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arabic_tr {background-position: 0 -416px;}
#google_translate_bar a.hindi_tr { background-position: 0 -448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hindi_tr {background-position: 0 -480px;}
#google_translate_bar a.korean_tr { background-position: 0 -512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korean_tr {background-position: 0 -544px;}
#google_translate_bar a.chi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576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chinese_tr {background-position: 0 -608px;}
#google_translate_bar a.japa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640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japanese_tr {background-position: 0 -672px;}
#google_translate_bar a.bengali_tr { background-position: 0 -70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bengali_tr {background-position: 0 -736px;}
</style>
<span style="font-size:14px;font-weight:bold;float:left;display:block;padding-top:4px;padding-right:12px;">Translate to</span><div id='google_translate_bar'>
<a class="english_tr" href="#" title="English" onclick="google_translate('en')"></a>
<a class="spanish_tr" href="#" title="Español(Spanish)" onclick="google_translate('es')"></a>
<a class="portuguese_tr" href="#" title="Português(Portuguese)" onclick="google_translate('pt')"></a>
<a class="french_tr" href="#" title="français(French)" onclick="google_translate('fr')"></a>
<a class="german_tr" href="#" title="Deutsch(German)" onclick="google_translate('de')"></a>
<a class="russian_tr" href="#" title="русский язык(Russian)" onclick="google_translate('ru')"></a>
<a class="arabic_tr" href="#" title="العربية(Arabic)" onclick="google_translate('ar')"></a>
<a class="hindi_tr" href="#" title="हिन्दुस्तानी(Hindi)" onclick="google_translate('hi')"></a>
<a class="korean_tr" href="#" title="한국어(Korean)" onclick="google_translate('ko')"></a>
<a class="chinese_tr" href="#" title="中文(Chinese)" onclick="google_translate('zh-CN')"></a>
<a class="japanese_tr" href="#" title="日本語(Japanese)" onclick="google_translate('ja')"></a>
<a class="bengali_tr" href="#" title="বাংলা(Bengali)" onclick="google_translate('bn')"></a>
</div><span style="font-size:12x;float:left;display:block;padding-top:5px;padding-left:12px;">Created by<a rel="license" href="http://www.dorajistyle.pe.kr/2011/08/lightweight-translation-widget.html" target="_blank" title="">月風</a></span>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unction google_translate(language){
window.open('http://translate.google.com/translate?u='+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hl='+language+'&ie=UTF8&tbb=1&langpair=auto%7C'+language);
return false;
}
//]]>
</script>



Single line style google translate widget with black background
<style>
#google_translate_bar a{background-image:url('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ih5-uzOe2Z4hbs9bcM6sjfXiS_lrYYzuekJVhnNzG0htNzTgj8lyupX9iCPeOIAOHX61MqM904xg8kLkpHAlTtmRl0YboyrXMRzByZwvWgVbLEwOsV8vaX3nNyAThkqKTmWi9Y/');background-repeat: no-repeat; height: 32px;width:32px;display:block;float:left;}
#google_translate_bar a.english_tr { background-position: 0 0;}
#google_translate_bar a:hover.english_tr {background-position: 0 -32px;}
#google_translate_bar a.spanish_tr { background-position: 0 -6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spanish_tr {background-position: 0 -96px;}
#google_translate_bar a.portuguese_tr { background-position: 0 -128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portuguese_tr {background-position: 0 -160px;}
#google_translate_bar a.french_tr { background-position: 0 -192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french_tr {background-position: 0 -224px;}
#google_translate_bar a.german_tr { background-position: 0 -256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german_tr {background-position: 0 -288px;}
#google_translate_bar a.russian_tr { background-position: 0 -320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russian_tr {background-position: 0 -352px;}
#google_translate_bar a.arabic_tr { background-position: 0 -38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arabic_tr {background-position: 0 -416px;}
#google_translate_bar a.hindi_tr { background-position: 0 -448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hindi_tr {background-position: 0 -480px;}
#google_translate_bar a.korean_tr { background-position: 0 -512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korean_tr {background-position: 0 -544px;}
#google_translate_bar a.chi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576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chinese_tr {background-position: 0 -608px;}
#google_translate_bar a.japa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640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japanese_tr {background-position: 0 -672px;}
#google_translate_bar a.bengali_tr { background-position: 0 -70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bengali_tr {background-position: 0 -736px;}
</style>
<span style="font-size:14px;font-weight:bold;float:left;display:block;padding-top:4px;padding-right:12px;">Translate to</span><div id='google_translate_bar'>
<a class="english_tr" href="#" title="English" onclick="google_translate('en')"></a>
<a class="spanish_tr" href="#" title="Español(Spanish)" onclick="google_translate('es')"></a>
<a class="portuguese_tr" href="#" title="Português(Portuguese)" onclick="google_translate('pt')"></a>
<a class="french_tr" href="#" title="français(French)" onclick="google_translate('fr')"></a>
<a class="german_tr" href="#" title="Deutsch(German)" onclick="google_translate('de')"></a>
<a class="russian_tr" href="#" title="русский язык(Russian)" onclick="google_translate('ru')"></a>
<a class="arabic_tr" href="#" title="العربية(Arabic)" onclick="google_translate('ar')"></a>
<a class="hindi_tr" href="#" title="हिन्दुस्तानी(Hindi)" onclick="google_translate('hi')"></a>
<a class="korean_tr" href="#" title="한국어(Korean)" onclick="google_translate('ko')"></a>
<a class="chinese_tr" href="#" title="中文(Chinese)" onclick="google_translate('zh-CN')"></a>
<a class="japanese_tr" href="#" title="日本語(Japanese)" onclick="google_translate('ja')"></a>
<a class="bengali_tr" href="#" title="বাংলা(Bengali)" onclick="google_translate('bn')"></a>
</div><span style="font-size:12x;float:left;display:block;padding-top:5px;padding-left:12px;">Created by<a rel="license" href="http://www.dorajistyle.pe.kr/2011/08/lightweight-translation-widget.html" target="_blank" title="">月風</a></span>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unction google_translate(language){
window.open('http://translate.google.com/translate?u='+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hl='+language+'&ie=UTF8&tbb=1&langpair=auto%7C'+language);
return false;
}
//]]>
</script>


Microsoft translator not supported Hindi and Bengali.

'가벼운 번역 위젯 (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Single line style microsoft translator widget with white background
<style>
#microsoft_translator_bar a{background-image:url('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h56-dicAlqqfDSiJl7VG-Fxcg2uu-CTMvqy49aiyqNDtU-jsOQ695y6dwJBLUQQR4JF_mcaL6H9md7gdX-817O1eUVzbP9GL3dbPoJEFn1D5InMLaafmG4WeYfJ87lxkMNbZWD/');background-repeat: no-repeat; height: 32px;width:32px;display:block;float:left;}
#microsoft_translator_bar a.english_tr { background-position: 0 0;}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english_tr {background-position: 0 -3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spanish_tr { background-position: 0 -6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spanish_tr {background-position: 0 -9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portuguese_tr { background-position: 0 -12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portuguese_tr {background-position: 0 -16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french_tr { background-position: 0 -19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french_tr {background-position: 0 -22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german_tr { background-position: 0 -25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german_tr {background-position: 0 -28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russian_tr { background-position: 0 -32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russian_tr {background-position: 0 -35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arabic_tr { background-position: 0 -38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arabic_tr {background-position: 0 -41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korean_tr { background-position: 0 -51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korean_tr {background-position: 0 -54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chi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57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chinese_tr {background-position: 0 -60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japa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64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japanese_tr {background-position: 0 -672px;}

</style>
<span style="font-size:14px;font-weight:bold;float:left;display:block;padding-top:4px;padding-right:12px;">Translate to</span><div id='microsoft_translator_bar'>
<a class="english_tr" href="#" title="English" onclick="microsoft_translator('en')"></a>
<a class="spanish_tr" href="#" title="Español(Spanish)" onclick="microsoft_translator('es')"></a>
<a class="portuguese_tr" href="#" title="Português(Portuguese)" onclick="microsoft_translator('pt')"></a>
<a class="french_tr" href="#" title="français(French)" onclick="microsoft_translator('fr')"></a>
<a class="german_tr" href="#" title="Deutsch(German)" onclick="microsoft_translator('de')"></a>
<a class="russian_tr" href="#" title="русский язык(Russian)" onclick="microsoft_translator('ru')"></a>
<a class="arabic_tr" href="#" title="العربية(Arabic)" onclick="microsoft_translator('ar')"></a>
<a class="korean_tr" href="#" title="한국어(Korean)" onclick="microsoft_translator('ko')"></a>
<a class="chinese_tr" href="#" title="中文(Chinese)" onclick="microsoft_translator('zh-CN')"></a>
<a class="japanese_tr" href="#" title="日本語(Japanese)" onclick="microsoft_translator('ja')"></a>
</div><span style="font-size:12x;float:left;display:block;padding-top:5px;padding-left:12px;">Created by<a rel="license" href="http://www.dorajistyle.pe.kr/2011/08/lightweight-translation-widget.html" target="_blank" title="">月風</a></span>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unction microsoft_translator(language){
window.open('http://www.microsofttranslator.com/bv.aspx?ref=Internal&a='+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from=&to='+language);
return false;
}
//]]>
</script>


Single line style microsoft translator widget with black background
<style>
#microsoft_translator_bar a{background-image:url('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ih5-uzOe2Z4hbs9bcM6sjfXiS_lrYYzuekJVhnNzG0htNzTgj8lyupX9iCPeOIAOHX61MqM904xg8kLkpHAlTtmRl0YboyrXMRzByZwvWgVbLEwOsV8vaX3nNyAThkqKTmWi9Y/');background-repeat: no-repeat; height: 32px;width:32px;display:block;float:left;}
#microsoft_translator_bar a.english_tr { background-position: 0 0;}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english_tr {background-position: 0 -3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spanish_tr { background-position: 0 -6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spanish_tr {background-position: 0 -9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portuguese_tr { background-position: 0 -12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portuguese_tr {background-position: 0 -16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french_tr { background-position: 0 -19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french_tr {background-position: 0 -22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german_tr { background-position: 0 -25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german_tr {background-position: 0 -28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russian_tr { background-position: 0 -32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russian_tr {background-position: 0 -35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arabic_tr { background-position: 0 -38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arabic_tr {background-position: 0 -41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korean_tr { background-position: 0 -51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korean_tr {background-position: 0 -54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chi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57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chinese_tr {background-position: 0 -60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japa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64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japanese_tr {background-position: 0 -672px;}

</style>
<span style="font-size:14px;font-weight:bold;float:left;display:block;padding-top:4px;padding-right:12px;">Translate to</span><div id='microsoft_translator_bar'>
<a class="english_tr" href="#" title="English" onclick="microsoft_translator('en')"></a>
<a class="spanish_tr" href="#" title="Español(Spanish)" onclick="microsoft_translator('es')"></a>
<a class="portuguese_tr" href="#" title="Português(Portuguese)" onclick="microsoft_translator('pt')"></a>
<a class="french_tr" href="#" title="français(French)" onclick="microsoft_translator('fr')"></a>
<a class="german_tr" href="#" title="Deutsch(German)" onclick="microsoft_translator('de')"></a>
<a class="russian_tr" href="#" title="русский язык(Russian)" onclick="microsoft_translator('ru')"></a>
<a class="arabic_tr" href="#" title="العربية(Arabic)" onclick="microsoft_translator('ar')"></a>
<a class="korean_tr" href="#" title="한국어(Korean)" onclick="microsoft_translator('ko')"></a>
<a class="chinese_tr" href="#" title="中文(Chinese)" onclick="microsoft_translator('zh-CN')"></a>
<a class="japanese_tr" href="#" title="日本語(Japanese)" onclick="microsoft_translator('ja')"></a>
</div><span style="font-size:12x;float:left;display:block;padding-top:5px;padding-left:12px;">Created by<a rel="license" href="http://www.dorajistyle.pe.kr/2011/08/lightweight-translation-widget.html" target="_blank" title="">月風</a></span>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unction microsoft_translator(language){
window.open('http://www.microsofttranslator.com/bv.aspx?ref=Internal&a='+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from=&to='+language);
return false;
}
//]]>
</script>



Sidebar style translation widget


'가벼운 번역 위젯 (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Sidebar style google translate widget with white background <style>
#google_translate_bar a{background-image:url('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h56-dicAlqqfDSiJl7VG-Fxcg2uu-CTMvqy49aiyqNDtU-jsOQ695y6dwJBLUQQR4JF_mcaL6H9md7gdX-817O1eUVzbP9GL3dbPoJEFn1D5InMLaafmG4WeYfJ87lxkMNbZWD/');background-repeat: no-repeat; height: 32px;width:32px;display:block;float:left;}
#google_translate_bar a.english_tr { background-position: 0 0;}
#google_translate_bar a:hover.english_tr {background-position: 0 -32px;}
#google_translate_bar a.spanish_tr { background-position: 0 -6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spanish_tr {background-position: 0 -96px;}
#google_translate_bar a.portuguese_tr { background-position: 0 -128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portuguese_tr {background-position: 0 -160px;}
#google_translate_bar a.french_tr { background-position: 0 -192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french_tr {background-position: 0 -224px;}
#google_translate_bar a.german_tr { background-position: 0 -256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german_tr {background-position: 0 -288px;}
#google_translate_bar a.russian_tr { background-position: 0 -320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russian_tr {background-position: 0 -352px;}
#google_translate_bar a.arabic_tr { background-position: 0 -38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arabic_tr {background-position: 0 -416px;}
#google_translate_bar a.hindi_tr { background-position: 0 -448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hindi_tr {background-position: 0 -480px;}
#google_translate_bar a.korean_tr { background-position: 0 -512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korean_tr {background-position: 0 -544px;}
#google_translate_bar a.chi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576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chinese_tr {background-position: 0 -608px;}
#google_translate_bar a.japa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640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japanese_tr {background-position: 0 -672px;}
#google_translate_bar a.bengali_tr { background-position: 0 -70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bengali_tr {background-position: 0 -736px;}
</style>
<span style="font-size:14px;font-weight:bold;padding-bottom:8px;padding-left:6px;">Translate to </span><br/><br/><div id='google_translate_bar'>
<a class="english_tr" href="#" title="English" onclick="google_translate('en')"></a>
<a class="spanish_tr" href="#" title="Español(Spanish)" onclick="google_translate('es')"></a>
<a class="portuguese_tr" href="#" title="Português(Portuguese)" onclick="google_translate('pt')"></a>
<a class="french_tr" href="#" title="français(French)" onclick="google_translate('fr')"></a>
<br/><br/>
<a class="german_tr" href="#" title="Deutsch(German)" onclick="google_translate('de')"></a>
<a class="russian_tr" href="#" title="русский язык(Russian)" onclick="google_translate('ru')"></a>
<a class="arabic_tr" href="#" title="العربية(Arabic)" onclick="google_translate('ar')"></a>
<a class="hindi_tr" href="#" title="हिन्दुस्तानी(Hindi)" onclick="google_translate('hi')"></a>
<br/><br/>
<a class="korean_tr" href="#" title="한국어(Korean)" onclick="google_translate('ko')"></a>
<a class="chinese_tr" href="#" title="中文(Chinese)" onclick="google_translate('zh-CN')"></a>
<a class="japanese_tr" href="#" title="日本語(Japanese)" onclick="google_translate('ja')"></a>
<a class="bengali_tr" href="#" title="বাংলা(Bengali)" onclick="google_translate('bn')"></a>
</div><br/><br/>
<span style="font-size:12x;padding-top:-2px;padding-left:32px;">Created by<a rel="license" href="http://www.dorajistyle.pe.kr/2011/08/lightweight-translation-widget.html" target="_blank" title="">月風</a></span>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unction google_translate(language){
window.open('http://translate.google.com/translate?u='+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hl='+language+'&ie=UTF8&tbb=1&langpair=auto%7C'+language);
return false;
}
//]]>
</script>


Sidebar style google translate widget with black background
<style>
#google_translate_bar a{background-image:url('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ih5-uzOe2Z4hbs9bcM6sjfXiS_lrYYzuekJVhnNzG0htNzTgj8lyupX9iCPeOIAOHX61MqM904xg8kLkpHAlTtmRl0YboyrXMRzByZwvWgVbLEwOsV8vaX3nNyAThkqKTmWi9Y/');background-repeat: no-repeat; height: 32px;width:32px;display:block;float:left;}
#google_translate_bar a.english_tr { background-position: 0 0;}
#google_translate_bar a:hover.english_tr {background-position: 0 -32px;}
#google_translate_bar a.spanish_tr { background-position: 0 -6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spanish_tr {background-position: 0 -96px;}
#google_translate_bar a.portuguese_tr { background-position: 0 -128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portuguese_tr {background-position: 0 -160px;}
#google_translate_bar a.french_tr { background-position: 0 -192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french_tr {background-position: 0 -224px;}
#google_translate_bar a.german_tr { background-position: 0 -256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german_tr {background-position: 0 -288px;}
#google_translate_bar a.russian_tr { background-position: 0 -320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russian_tr {background-position: 0 -352px;}
#google_translate_bar a.arabic_tr { background-position: 0 -38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arabic_tr {background-position: 0 -416px;}
#google_translate_bar a.hindi_tr { background-position: 0 -448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hindi_tr {background-position: 0 -480px;}
#google_translate_bar a.korean_tr { background-position: 0 -512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korean_tr {background-position: 0 -544px;}
#google_translate_bar a.chi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576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chinese_tr {background-position: 0 -608px;}
#google_translate_bar a.japa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640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japanese_tr {background-position: 0 -672px;}
#google_translate_bar a.bengali_tr { background-position: 0 -704px;}
#google_translate_bar a:hover.bengali_tr {background-position: 0 -736px;}
</style>
<span style="font-size:14px;font-weight:bold;padding-bottom:8px;padding-left:6px;">Translate to </span><br/><br/><div id='google_translate_bar'>
<a class="english_tr" href="#" title="English" onclick="google_translate('en')"></a>
<a class="spanish_tr" href="#" title="Español(Spanish)" onclick="google_translate('es')"></a>
<a class="portuguese_tr" href="#" title="Português(Portuguese)" onclick="google_translate('pt')"></a>
<a class="french_tr" href="#" title="français(French)" onclick="google_translate('fr')"></a>
<br/><br/>
<a class="german_tr" href="#" title="Deutsch(German)" onclick="google_translate('de')"></a>
<a class="russian_tr" href="#" title="русский язык(Russian)" onclick="google_translate('ru')"></a>
<a class="arabic_tr" href="#" title="العربية(Arabic)" onclick="google_translate('ar')"></a>
<a class="hindi_tr" href="#" title="हिन्दुस्तानी(Hindi)" onclick="google_translate('hi')"></a>
<br/><br/>
<a class="korean_tr" href="#" title="한국어(Korean)" onclick="google_translate('ko')"></a>
<a class="chinese_tr" href="#" title="中文(Chinese)" onclick="google_translate('zh-CN')"></a>
<a class="japanese_tr" href="#" title="日本語(Japanese)" onclick="google_translate('ja')"></a>
<a class="bengali_tr" href="#" title="বাংলা(Bengali)" onclick="google_translate('bn')"></a>
</div><br/><br/>
<span style="font-size:12x;padding-top:-2px;padding-left:32px;">Created by<a rel="license" href="http://www.dorajistyle.pe.kr/2011/08/lightweight-translation-widget.html" target="_blank" title="">月風</a></span>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unction google_translate(language){
window.open('http://translate.google.com/translate?u='+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hl='+language+'&ie=UTF8&tbb=1&langpair=auto%7C'+language);
return false;
}
//]]>
</script>


Microsoft translator not supported Hindi and Bengali.

'가벼운 번역 위젯 (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Sidebar style microsoft translator widget with white background
<style>
#microsoft_translator_bar a{background-image:url('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h56-dicAlqqfDSiJl7VG-Fxcg2uu-CTMvqy49aiyqNDtU-jsOQ695y6dwJBLUQQR4JF_mcaL6H9md7gdX-817O1eUVzbP9GL3dbPoJEFn1D5InMLaafmG4WeYfJ87lxkMNbZWD/');background-repeat: no-repeat; height: 32px;width:32px;display:block;float:left;}
#microsoft_translator_bar a.english_tr { background-position: 0 0;}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english_tr {background-position: 0 -3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spanish_tr { background-position: 0 -6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spanish_tr {background-position: 0 -9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portuguese_tr { background-position: 0 -12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portuguese_tr {background-position: 0 -16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french_tr { background-position: 0 -19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french_tr {background-position: 0 -22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german_tr { background-position: 0 -25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german_tr {background-position: 0 -28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russian_tr { background-position: 0 -32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russian_tr {background-position: 0 -35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arabic_tr { background-position: 0 -38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arabic_tr {background-position: 0 -41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korean_tr { background-position: 0 -51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korean_tr {background-position: 0 -54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chi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57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chinese_tr {background-position: 0 -60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japa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64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japanese_tr {background-position: 0 -672px;}
</style>
<span style="font-size:14px;font-weight:bold;padding-bottom:8px;padding-left:6px;">Translate to </span><br/><br/><div id='microsoft_translator_bar'>
<a class="english_tr" href="#" title="English" onclick="microsoft_translator('en')"></a>
<a class="spanish_tr" href="#" title="Español(Spanish)" onclick="microsoft_translator('es')"></a>
<a class="portuguese_tr" href="#" title="Português(Portuguese)" onclick="microsoft_translator('pt')"></a>
<a class="french_tr" href="#" title="français(French)" onclick="microsoft_translator('fr')"></a>
<br/><br/>
<a class="german_tr" href="#" title="Deutsch(German)" onclick="microsoft_translator('de')"></a>
<a class="russian_tr" href="#" title="русский язык(Russian)" onclick="microsoft_translator('ru')"></a>
<a class="arabic_tr" href="#" title="العربية(Arabic)" onclick="microsoft_translator('ar')"></a>
<br/><br/>
<a class="korean_tr" href="#" title="한국어(Korean)" onclick="microsoft_translator('ko')"></a>
<a class="chinese_tr" href="#" title="中文(Chinese)" onclick="microsoft_translator('zh-CN')"></a>
<a class="japanese_tr" href="#" title="日本語(Japanese)" onclick="microsoft_translator('ja')"></a>
</div><br/><br/>
<span style="font-size:12x;padding-top:-2px;padding-left:32px;">Created by<a rel="license" href="http://www.dorajistyle.pe.kr/2011/08/lightweight-translation-widget.html" target="_blank" title="">月風</a></span>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unction microsoft_translator(language){
window.open('http://www.microsofttranslator.com/bv.aspx?ref=Internal&a='+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from=&to='+language);
return false;
}
//]]>
</script>


Sidebar style microsoft translator widget with black background
<style>
#microsoft_translator_bar a{background-image:url('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ih5-uzOe2Z4hbs9bcM6sjfXiS_lrYYzuekJVhnNzG0htNzTgj8lyupX9iCPeOIAOHX61MqM904xg8kLkpHAlTtmRl0YboyrXMRzByZwvWgVbLEwOsV8vaX3nNyAThkqKTmWi9Y/');background-repeat: no-repeat; height: 32px;width:32px;display:block;float:left;}
#microsoft_translator_bar a.english_tr { background-position: 0 0;}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english_tr {background-position: 0 -3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spanish_tr { background-position: 0 -6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spanish_tr {background-position: 0 -9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portuguese_tr { background-position: 0 -12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portuguese_tr {background-position: 0 -16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french_tr { background-position: 0 -19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french_tr {background-position: 0 -22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german_tr { background-position: 0 -25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german_tr {background-position: 0 -28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russian_tr { background-position: 0 -32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russian_tr {background-position: 0 -35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arabic_tr { background-position: 0 -38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arabic_tr {background-position: 0 -41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korean_tr { background-position: 0 -512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korean_tr {background-position: 0 -544px;}
#microsoft_translator_bar a.chi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576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chinese_tr {background-position: 0 -608px;}
#microsoft_translator_bar a.japanese_tr { background-position: 0 -640px;}
#microsoft_translator_bar a:hover.japanese_tr {background-position: 0 -672px;}
</style>
<span style="font-size:14px;font-weight:bold;padding-bottom:8px;padding-left:6px;">Translate to </span><br/><br/><div id='microsoft_translator_bar'>
<a class="english_tr" href="#" title="English" onclick="microsoft_translator('en')"></a>
<a class="spanish_tr" href="#" title="Español(Spanish)" onclick="microsoft_translator('es')"></a>
<a class="portuguese_tr" href="#" title="Português(Portuguese)" onclick="microsoft_translator('pt')"></a>
<a class="french_tr" href="#" title="français(French)" onclick="microsoft_translator('fr')"></a>
<br/><br/>
<a class="german_tr" href="#" title="Deutsch(German)" onclick="microsoft_translator('de')"></a>
<a class="russian_tr" href="#" title="русский язык(Russian)" onclick="microsoft_translator('ru')"></a>
<a class="arabic_tr" href="#" title="العربية(Arabic)" onclick="microsoft_translator('ar')"></a>
<br/><br/>
<a class="korean_tr" href="#" title="한국어(Korean)" onclick="microsoft_translator('ko')"></a>
<a class="chinese_tr" href="#" title="中文(Chinese)" onclick="microsoft_translator('zh-CN')"></a>
<a class="japanese_tr" href="#" title="日本語(Japanese)" onclick="microsoft_translator('ja')"></a>
</div><br/><br/>
<span style="font-size:12x;padding-top:-2px;padding-left:32px;">Created by<a rel="license" href="http://www.dorajistyle.pe.kr/2011/08/lightweight-translation-widget.html" target="_blank" title="">月風</a></span>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function microsoft_translator(language){
window.open('http://www.microsofttranslator.com/bv.aspx?ref=Internal&a='+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from=&to='+language);
return false;
}
//]]>
</script>




언어 참고 자료 (References)
Official languages of the United Nations
Global Internet usage
List of languages by number of native speakers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月風에 의해 창작된 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Attribution)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by 月風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3.0 Unported License.

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by 月風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Reconocimiento 3.0 Unported License.

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de 月風 est mis à disposition selon les termes de la licence Creative Commons Paternité 3.0 non transcrit.

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by 月風 هو المرخص لها بموجب المشاع الإبداعي نسب المصنف 3.0 الاصلية الترخيص .

Произведение «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созданное автором по имени 月風, публикуется на условиях лицензии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Атрибуция) 3.0 Непортированная.

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由月風製作,以創用CC 姓名標示 3.0 Unported 授權條款釋出。

Lightweight Translation Widget by 月風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表示 3.0 非移植 License.



by


Tags : , , , , ,

  •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광고를 클릭해주시면,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트랙백을 지원하지 않는 구글 블로거에서도, 그리즈 몽키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트랙백을 보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구글 블로거의 백링크는 물론 멋진 기능이지만,
한국의 블로거들과 교류하기엔 트랙백이 편리합니다.
대부분의 대한민국 블로그 서비스에서 트랙백을 지원하고 있으니까요.
우선 DISQUS를 이용하면 트랙백을 받는 것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연관이 있는 다른 게시물에 트랙백을 보낼 수는 없죠.
그래서 방법을 찾다가, 아주 간단한 방법을 발견 했어요.
바로 그리즈 몽키 스크립트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by 月風

구글 블로거에서 트랙백을 보내자

그리즈몽키 스크립트를 이용한 트랙백 보내기에 대해선
GreaseMonkey & Firefox – How To Send a Trackback With Blogger (Part 2)에서 잘 설명하고 있어요.
트랙백기능과 더불어 del.icio.us에 북마크를 쉽게 추가 할 수도 있는 멋진 스크립트죠.

Blogger del.icio.us publishing and post categorizing helper (with trackback) for the new Blogger
구글 블로거용 그리즈몽키 트랙백 스크립트

기존 에디터-'구글 블로거에서 트랙백을 보내자'
기존 에디터를 
글쓰기 에디터로 사용한다면, 잘 작동합니다.

업데이트된 에디터-'구글 블로거에서 트랙백을 보내자'
하지만 안타깝게도 업데이트된 에디터를 사용하면 작동을 하지 않는군요.

그래서 스크립트를 업데이트된 에디터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수정 했습니다.

Blogger del.icio.us publishing and post categorizing helper (with trackback) for the new Blogger with New Post Editor 
구글 블로거용 그리즈몽키 트랙백 스크립트

위 스크립트를 이용하시면 구글 블로거의 업데이트된 에디터에서도 트랙백을 보낼 수 있어요.

이젠 그리즈몽키 스크립트로  구글 블로거에서도 트랙백을 편리하게 보내세요.:D



by


Tags : , , , , , ,

  •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광고를 클릭해주시면,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무념 스님과 응진 스님이 번역하신 법구경 이야기 입니다. 불교 경전인 법구경 주석서를 번역한 책으로, 부연 설명이 잘 되어 있어서 불교에 대한 기반 지식이 없어도 편히 읽을 수 있어요.

'경전' 하면 딱딱할 것이란 선입견이 있습니다.
하지만 법구경 이야기는 옛날 이야기 책을 읽는 것 같았어요.
'담마파다' 에서 '담마'는 진리,'파다'는 말씀을 의미합니다.
그야말로 진리의 말씀을 모아 놓은 경전이에요.
재미도 있고, 고개가 절로 끄덕여 지는 가르침도 담고 있죠.
법구경 이야기를 읽고, 마음에 드는 게송을 추려 보았습니다.
언제쯤이면 이 게송들이 제 삶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까요?
by 月風

법구경 이야기

붓다-'법구경 이야기'

그가 내게 욕을 하고 나를 때리고, 나를 패배 시키고 나를 훔쳤다.
이렇게 앙심을 품는다면 그 원한은 고요해지지 않으리라.  (법구경:3)
그가 내게 욕을 하고 나를 때리고, 나를 패배 시키고 내 물건을 훔쳤다.
이런 생각을 품지 않으면 그 원한은 고요해 지리라. (
법구경:4)

어리석은 자는 언젠가 죽어야 한다는 것을 알지 못하기에 다투고,
지혜로운 이는 잘 알기에 다투지 않는다. (
법구경:6)

경전을 가르칠 지라도,
제멋대로 지내며
실천하지 않는 자는
남의 소를 세는 목동처럼
깨달음의 열매를 맛 볼 수 없네. (
법구경:19)
경전을 적게 암송 할 지라도,
가르침을 실천하여
탐욕, 성냄과 어리석음을 없애고
가르침을 여실히 알아 해탈한 이는
이 삶과 저 삶을 붙잡지 않고,
깨달음의 열매를 맛보리라. (
법구경:20)

마음은 다스리기 어려움나니
항상 좋아하는 곳으로 빠르게 치닫는다.
마음을 길들여야 훌륭하나니
길들여진 마음이 행복을 가져온다. (
법구경:35)

적이 적에게 해를 끼치고
원수가 원수에게 해를 끼치는 것보다
삿된 마음이 내게 더 큰 해를 끼친다. (
법구경:42)

부모도 친척도
어느 누구도 해 주지 못하나니
바르게 나가는 마음만이
자신을 더욱 거룩하게 하리라. (
법구경:43)

아름답지만 향기 없는 꽃이
이익이 없듯이
아무리 훌륭한 가르침도
실천하지 않으면 아무 이익이 없다. (
법구경:51)
아름다우면서 향기로운 꽃이
많은 이익을 주듯
잘 설해진 훌륭한 가르침도
따르고 실천해야만 많은 이익이 있다. (
법구경:52)

자신이 어리석다고 생각하는 어리석은 자는
오히려 지혜로운 자이지만
자신이 지혜롭다고 생각하는 어리석은 자는
그야말로 정말 어리석은 자이다. (
법구경:63)

어리석은 자의 재주와 힘은
전혀 이득이 되지 않고
오히려 독이 되어
자신의 복과 지혜마저 파괴할 뿐이다. (
법구경:72)

잘못을 일러주고 꾸짖어 주는
지혜로운 이를 만난다면
땅에 묻힌 금 항아리를
가리켜주는 사람처럼 가까이 하라.
그를 가까이 하면
나아갈 뿐 물러나지 않으리라. (
법구경:76)

농부는 물길을 내어 물을 끌어들이고
활 만드는 이는 화살을 곧게 만든다.
목수는 굽은 나무를 곱게 다듬고
지혜로운 이는 마음을 잘 다스린다. (
법구경:80)

큰 바위산이 거센 바람에
흔들리지 않듯이
지혜로운 이는
비난과 칭찬에 동요하지 않는다. (
법구경:81)

훌륭한 이는 집착을 버리고
덕 있는 이는 바라는 것을 말 하지 않으며
지혜로운 이는 행복과 불행을 만나더라도
기뻐하거나 낙담하지 않는다. (
법구경:83)

선악 그 두가지를 버리고
번뇌를 뛰어넘어 슬픔과 탐욕에서 벗어난 해맑은 사람
그를 일컬어 아라한이라고 한다. (
법구경:84)

이로움을 주지 않는 천 마디 말보다
들으면 마음이 고요해지고
이로움을 가져다 주는
한 마디 말이 더 가치있다. (
법구경:100)

전쟁터에서 백만 명을 정복한 것보다
자기 자신을 정복하는 사람이
더 위대한 승리자이다. (
법구경:103)

마음에 때가 없고 오염이 없는
청정한 사람에게 해를 끼치면
해로운 과보가 그에게 되돌아간다.
바람을 거슬러 던진 흙가루를
자신이 뒤집어 쓰듯이 (
법구경:125)

하늘 위 바다 속도 아니요
깊은 산 동굴 속도 아니다.
덮쳐오는 죽음을 피할 곳은
그 어디에도 없다. (
법구경:128)

살아있는 생명은
폭력에 떨고 죽음을 두려워 한다.
내가 두려워 하듯 남도 그러하니
그 누구도 괴롭히지 말라. (
법구경:129)

가는 말이 거칠면 오는 말도 거칠다.
거친말은 괴로움의 원인이니
그대에게 되돌아와 상처를 입히리라. (
법구경:133)

남을 꾸짖고 가르치듯이 자신을 꾸짖는다면
자신을 잘 다스린 사람이며 남을 다스릴 만 한다.
왜냐하면 자신을 다스리기가 가장 어렵기 때문이다. (
법구경:159)

어리석은 자는 잘못된 견해를 가지고
성인의 가르침을 욕 되게 한다.
열매를 맺으면 죽는 대나무처럼
그는 스스로를 파멸로 이끈다. (
법구경:164)

남을 이롭게 한답시고
자신의 이로움을 게을리 하지 마라.
자신의 이로움을 잘 살핀 뒤에
해야 할 일을 마쳐야 하리라. (
법구경:166)

지난 날 저지른 악행을
선행으로 덮는 사람
그가 세상을 비추네.
구름을 벗어난 달처럼. (
법구경:173)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지 말고
싫어하는 사람도 만나지 말라.
사랑하는 사람을 보지 못함도 괴로움이고
싫어하는 사람을 보는 것도 괴로움이다. (
법구경:210)

집착이 슬픔을 낳고
집착이 두려움을 낳는다.
집착에서 벗어나면 슬픔이 없는데
어찌 두려움이 있으랴.(
법구경:214)

분노는 자비로 이기고
악은 선으로 이겨라.
인색은 보시로 이기고
거짓말은 진실한 말로 이겨라. (
법구경:223)

늘 비난만 받거나
언제나 칭찬만 받는 사람은
이전에도 없었고
이후에도 없을 것이고
현재에도 없다. (
법구경:228)

지혜로운 이는
몸과 말과 마음을 잘 지키고 다스리나니
그런 이가 진정
자신을 온전히 다스리는 사람이다. (
법구경:234)

탐욕보다 더한 불길은 없고
성냄보다 더한 밧줄은 없다.
어리석음보다 더한 그물은 없고
갈애보다 더한 강물도 없다. (
법구경:251)

말을 잘 한다고
지혜로운 자가 되지 않는다.
평화로우며 미움이 없고
두려움을 주지 않는 사람
그가 진정 지혜로운 사람이다. (
법구경:258)

작거나 크거나
그 어떤 허물도 짓지 않는 사람.
이 사람이야 말로 진정한 출가자이다. (
법구경:265)

여자에 대한
미세한 그리움이라도 남아있으면
얽매임에서 벗어날 수 없으리라.
송아지가 어미 소에 매어 있듯이. (
법구경:284)

여기서 우기를 보내고
저기서 겨울과 여름을 보내리라.
어리석은 자는 이렇게 생각하며
죽음의 위험이 다가오는 줄을 모른다. (
법구경:286)

아들도 지켜줄 수 없고
부모나 친척도 지켜줄 수 없다.
죽음이 닥친 이를
어느 누구도 지켜줄 수 없다. (
법구경:288)

눈 덮인 히말라야처럼
착한 사람은 멀리 있어도 잘 드러나고
밤에 쏜 화살처럼
악한 사람은 가까이 있어도 잘 드러나지 않네 (
법구경:304)

노새나 준마나 힘센 코끼리도 길들이면 훌륭하지만,
가장 훌륭한 것은 자신을 길들이는 것이다. (
법구경:322)

자신이야 말로 자신의 보호처이고
자신이야 말로 자신의 의지처이니
말 장수가 좋은 말을 잘 보호하듯이
그렇게 자신을 보호하라. (
법구경:304)

남을 괴롭히지 않는 것도 훌륭하지만
괴롭힘을 당하고서 화내지 않는 것은 더욱 훌륭하다.
해치려는 마음이 옅어질 수록
괴로움도 사라지리라. (
법구경:390)

지나간 과거를 붙들고 근심하지 말고
오지 않는 미래를 걱정하지도 말라.
지금 이 순간도 마음이 머무는 바가 없다면
그대는 평화롭게 살아가리라.

늙음경 (숫따니빠따 제 사 장(sn4.6)에 나오는 경이다)
인생은 짧고 모두가 백살을 넘기지 못하고 죽는다.
아무리 오래 살려고 해도 결국은 늙고 죽음이 온다.
집착 때문에 사람들은 슬퍼하지만
어떤 것도 영원한 것이 없고 곧 헤어지게 된다.
이 사실을 잘 알아 너무 오래 세속 생활을 하지 마라.
내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도 죽으면 사라진다.
현자는 이 사실을 알아
아무것도 집착하지 않는다.
꿈속에서 만난 사람은 깨어나면 사라지듯
사랑하는 사람이 죽는것도 이와 같다.
살아 생전에 보고 듣고 이름도 불러보지만
죽으면 이름만 남을 뿐이다.
탐욕스러운 자는 슬픔과 회한과 인색함을 버리지 못하고
현자는 소유를 버리고 평온속에 노닌다.
집착이 없는 비구는 홀로 머물며
거처에서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현자는 어디에도 머무르지 않고
사랑하거나 미워하지 않으며
슬픔과 이기심도 머물지 않는다.
마치 연잎에 물방울이 머물지 못하듯이.
연잎이 물방울에 젖지 않듯
현자는 보고 듣고 인식한 것에 미혹되지 않는다.
현자는 인식에도 현혹되지 않고
청정하게 되는 것도 원치 않으며
탐착하지도 않고 탐착에서 벗어나려고도 하지 않는다.

축원게송
그대가 바라고 원하는 모든 일들이 속히 이루어지기를!
보름달이 가득 차듯이 모든 소망이 가득 채워지기를!
그대가 바라고 원하는 모든 일들이 속히 이루어지기를!
소원을 빌면 이루어지는 마나보주처럼 그대의 소원이 이루어지기를!






by


Tags : , , ,

  •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광고를 클릭해주시면,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단식은 간단한 주의사항만 숙지 한다면,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자연 건강 요법입니다.

얼마전부터 단식, 디톡스 요법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는데요.
내장을 편히 쉬게 해주고 몸의 독소를 배출시켜,
건강을 찾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물론 단순히 체중을 줄이기 위해 단식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런 목적으로 시작한 단식은 얼마후에 요요현상이 나타나기 마련이죠.
정신 수양의 측면에서도 단식은 빼 놓을 수 없습니다.
부처님은 보리수 나무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으시고 가볍게 공양을 하신 후,
칠주야 동안 아무것도 드시지 않았습니다.
예수님은 부활절을 앞두고 40일 동안 단식 하시던 중,
죽은 나자로를 살리는 기적을 행하셨습니다.
예언자 마호메트 께서는 단식과 명상을 통해 수행을 하던 중,
히라 산 동굴에서 천사 가브리엘을 통해 알라의 말씀을 전해 들었습니다.
저는 우선 안전하게 일주일만 단식을 했어요.
2년 전에 레몬디톡스를 일주일간 했을때 보다,
물 한 모금 안 마시는 단식이 확실히 힘들더군요.
레몬 디톡스는 별 효과를 못 보았는데,
음양 단식은 꽤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제가 느낀 단식의 가장 큰 장점은,
욕망에 대한 시각의 변화입니다.
하루 세 끼는 '반드시' 챙겨 먹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제가,
일주일을 굶어도 살 수 있다는 경험 덕에 관점이 변했어요.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은 그저 습관에 불과했다는 것으로 말이죠.
인간의 가장 기초적인 욕망인 식욕을 다스릴 수 있다는 걸 알고 나니,
물욕, 명예욕, 성욕 같은 이차적 욕망에 휘둘릴 일이 없어집니다.
건강적인 측면에서는,
단식중에 숙변으로 의심되는 변이 나왔고,
가래가 많이 나왔습니다.
단식후에 가래가 예전보다 확실히 덜 끓는군요.

단식 중에 마하트마 간디의 “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은, 만인이 가능하다”는 말과,
인간을 만들어 내는 것은 재능 보다 경험이다.”라는 말이 와 닿았습니다.
앞으로도 종종.
몸도 마음도 가벼워 지는 단식을 통해,
스스로를 알아 가는 시간을 가져야겠습니다.
by 月風

7일 단식. 일주일만 굶어봐.

나의 주식. 공기-'7일 단식. 일주일만 굶어봐.'
일주일간 나의 생명을 유지시켜준, '공기'.


단식 이론 정리

일반 이론
단식중에 체중이 40%이상 빠지면 생명을 잃는다. (쇼오사의 법칙)


인체의 70%는 물이다.
체내 수분의 1~2% 잃었을 때 심한 갈증과 괴로움을 느낀다.
5% 정도를 잃으면 반 혼수상태에 빠진다.
12%를 잃으면 생명을 잃는다.
물과 음식이 없이 생명을 유지한 것으로 알려진 단식 기록은 18일이다.

니시 의학 단식 이론

물 마시는 방법
물은 양질의 생수를 맛있게 마실 수 있는 몸이 될 것
물을 마실 수 없는 사람은 체질 개선을 통해 1일 2리터 정도의 물을 맛있게 더욱이 즐겁게 마셔서 위장에 결코 없는 인체로 개선할 것
마시고 싶은 물을 억지로 제한하는 것은 결코 하지 말 것
그러나 마시고 싶지도 않은데 무리하여 대량의 물을 마실 필요는 없으나 생활조건을 고려하면서 대체로 1일 2리터 정도의 생수를 마시도록 할 것

소금의 중요성
위액의 염산(HCL)에서 CL은 식염(NaCl)의 Cl에서 만들어 진다.
화학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위 벽의 세포 안에서 탄산가스( CO2)dhk 물(H2O)에서 탄산(H2CO3)이 만들어 진다.
CO2 + H2O → H2CO3
이어서 탄산은 다음과 같이 풀어져 수소이온이 된다.
H2CO3 → HCO3- + H+
한편 혈액 중의 식염(NaCl)은 다음과 같이 풀어진다.
NaCl → Na+ +Cl-
즉 나트륨 이온(Na+)과 클로르이온(Cl-)으로 플어져 이 Cl-가 위의 벽(새포내)에서 받아서 세포내 소관의 세포막 부근에서 (H+)와의 사이에 염산(HCL)과 결합하는 것이다. 이것이 위액에 함유되어 있는 위산이다. 그러므로 식염이 결핍되면 위액의 염산은 아무래도 묽어져 소화 기능이 저하된다. 3일 정도 완전히 염분을 먹지 않으면 바로 위의 기능이 약해져 버린다. 즉 식염의 결핍이 일어나면 첫째, 식욕이 감퇴하고 평소와 같이 공복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명치 근처에 계속 먹은 것이 남아 있는 느낌으로 이와 같은 위의 팽만감이 있다. 그리고 물이나 차를 마신 뒤에 배를 흔들면 명치 근처에서 출렁거리는 소리가 나면 상당한 식염 부족인 것이다. 그리고 아랫배가 켕기고 변통이 잘 안된다. 여름철이면 목이 말라서 물을 마시든가 아무리 마셔도 갈증이 가시지 않아서 위가 출렁거리는데도 또 물이 마시고 싶은 것도 식염의 결핍이다. 어쩐지 몸이 둔하고 기운이 안 난다. 계단을 올라가는 모습을 보아도 활기가 없다. 눈이 움푹 들어가고 뺨이 홀쭉해져 주름이 많아진다. 이것도 역시 식염 부족의 현상이다. 음성체질의 사람은 비교적 다량의 식염이 필요하다. 그와 같은 체질의 사람은 많은 염분이 체내에서 잘 빠지는 타입으로 염분유지가 나쁜 것이다. 식염을 그다지 많이 먹을 필요가 없는 체질이라는 것은 염분이 체내에서 잘 안빠지는 것으로 염분유지가 좋은 것이다.

공복이 될수록 상쾌해진다
공복이 되면 몸이 가벼워지고 기분은 상쾌하고 신경은 예민해지는 것이 생리적 현상이다. 그리고 먹을거리를 손에 넣고 그것을 배가 부르게 먹으면 이제 무엇을 해도 귀찮아지고 자리에 누워버리는 것이 본디의 모습이었다. 사자나 호랑이를 보면 알 수 있다. 그리고 고양이나 개도 같다. 공복으로 새나 쥐를 쫓는 고양이의 민첩한 동작과 먹을거리를 먹고 난 뒤 피로한 듯한 모습은 대조적이다.
단식 중에도 무언가 가벼운 활동을 하면 그 동안에 식사를 잊을 수 있으며 그만큼 먹는 유혹에서 멀어질 수 있게 된다.
단식 할 때 하루종일 누워있다면 기아감이 엄습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식품을 뇌리에 떠올리고 망상을 하게 된다. TV의 식품 광고 같은 것도 악영향을 준다. 평소부터 생각 했던 책을 보든가 독서에 의해 정신수양에 힘쓰든가 또는 이것을 기회로 자신의 과거를 반성하고 금후의 생활을 검토하는 등 심신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긴요하다.
생수의 음용이 부족하면 변비가 되기 쉬우므로 충분히 마실 것.
모든 먹거리는 미온으로 할 것.
식염의 양이 과다하면 신장의 기능을 해치므로 적당량을 엄수 할 것.

다음 증상은 단식을 지양한다.
위·12지장 궤양
만성 신염의 말기
중증 당뇨병
부신피질호르몬제를 장기 다량 복용한 사람
간경변의 말기
진행성의 폐결핵
중증의 심질환
악성 질환(암, 백혈병 등)
체중 부족(표중 체중보다 2할 이상 감소)
정신 이상등

단식 용어
단식 – 물 한 모금도 마시지 않는 것
금식 – 물을 마시며 하는 것
안달증
단식을 마치고 보식할 수 있는 시기를 놓치면 그 후에 아무리 좋은 음식과 보약을 먹어도 오히려 뼛속이 텅비는 듯 고통이 심해지는 증상.


음양 단식법
단식을 할 때 힘이 없어도 가만히 있기보단 가벼운 운동을 하거나 걷는 것이 좋다.
단식후 된 음식을 먹고 2시간 지난 뒤에 물이나 즙을 마신다.
반드시 지켜야 할 것은 단식 후 음식 조절을 하는 일주일 정도의 기간 내에는 꿀이나 설탕 등 당분류의 음식은 삼가야 한다는 것이다.
금식을 했을 때
금식을 며칠 했든 마지막 날에는 24시간 동안 물 한 모금도 먹지 말고 완전 단식을 한 후에 된 음식을 먹고 두 시간 후에 물을 먹게 되면 보식에 신경쓸 필요 없이 빨리 회복되고 아주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금식을 할 때 이고식을 물에 타 마시면 면역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아미노산 분말을 먹으면 금식이나 단식 때 위장이 수축되는 과정에서 괴로움을 견디기 한결 수월해진다.
음식에 함유된 수분, 세면이나 샤워할 때 모공을 통해 흡수되는 수분, 그리고 호흡할 때 체내로 들어오는 공기 속의 수분만으로도 인체가 필요로 하는 수분의 양을 상당 부분 충족 시킬 수 있으며, 또 우리 몸 안에는 물을 생산할 능력이 있기 때문에 마시기 싫은 물을 의무적으로 마실 필요는 없다.
음식이라고는 물 한 모금도 먹지 않는 단식을 하는 동안 인체는 바짝 달아오른 솥처럼 양(陽)체질로 달궈져 불기운이 계속 일어나는 상태가 되는데, 

단식을 마친 상태에서 물 음식인 죽이나 각종 과일을 먹게 되면 체내에서 일어나는 불기운을 물로써 갑자기 꺼버리는 상극 현상이 되어 피어오르는 기를 꺾어 신체활명(身體活命)을 약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물 음식을 먹으면 먹을수록 정신력은 약해지고 손발에 힘이 빠지면서 영양실조 증세와 더불어 여러 후유증이 찾아와 아무리 좋은 약을 써도 회복하기 힘들고, 설령 회복했다 하더라도 그것은 일시적인 회복일 뿐 후일 나이가 들면 다시 그 후유증으로 고통 받는 일이 비일비재 하다.
단식이나 금식 후에 된 음식을 꼭꼭 씹어먹고 갈증을 참았다가 두 시간 후에 물을 마셔보라. 방법도 복잡하고 탈도 많은 각종 보식(補食) 과정이 굳이 필요치 않음을 각자가 경험하게 될 것이다.
반드시 된음식을 먼저 먹되 충분히 씹어서 먹고 난 다음 두 시간이 지나서 물이나 즙을 마신다.
일반적으로 단식하는 동안 비어있던 위에 갑자기 된음식이 들어가면 위에 과중한 부담이 되지 않을까 의문이 생기겠지만, 그 점은 조금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왜냐하면 단식으로 한껏 피어오른 양기운의 힘이 있기에, 갑자기 들어온 된 음식이라 할지라도 우리의 몸은 강력한 소화력을 발휘하여 말끔히 소화 시켜버리기 때문이다. 그리고 음양이 조화되어 전보다 더욱더 활명의 기운이 감도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 반드시 지켜야 할 주의사항은 단식 후 음식 조절을 하는 일 주일 정도의 기간 내에는 꿀이나 설탕 등 당분류의 음식은 삼가야 한다는 것이다.


밥 따로 물 따로 음양 단식 일기




제가 7일 단식을 별 무리 없이 실행할 수 있었던건,
단식 전의 식사 조절의 덕분입니다.
단식 20일 전부터 하루에 한 끼를 먹었으니,
일주일을 굶어봤자 7끼를 굶는 것이죠.
만약 하루에 세 끼 식사를 먹다가 삼 일만 굶어도,
무려 9끼를 굶는 겁니다.
단식 전엔 식사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에 좀 아쉬웠던 건,
단식을 시작 하기  전에 당분류를 좀 먹어서,
단식을 하는 동안 갈증을 더 심하게 느꼈다는 것입니다.
단식 중에 스트레칭은 수시로 해 주었습니다.



단식 하루 전
식사
밥 – 배가 고프지도 부르지도 않은 적당한 양을 먹었다. (잡곡밥, 멸치 볶음, 김치 볶음, 버섯 볶음, 마른 김, 두부부침. 후식 호두과자 2알, 견과류강정, 요플레 하나, 바나나 반개, 사과 한개)
지금껏 20일 가까이 점심 한끼를 먹다가 오늘은 저녁 한 끼를 먹었다. 밥은 지금껏 함께 먹던 양의 반 정도이다. 식후엔 종합 비타민을 평소처럼 침으로 삼켜 먹었다.
구충제는 단식 전에 먹어도 되고 안 먹어도 된다는 이상문 선생님의 말씀이 있었기에, 한알 씹어 먹었다.
집에 마침 구충제가 있었으니까.
물 – 식후 두시간이 지나서 500 ml 마셨다.
배설
소변 - 오전에 물을 안 마셔도 소변은 그대로 나온다.
비고

  • 오전에 동네 뒷산을 다녀왔다. 유난히 목이 마르다. 최근 들어 이렇게 목이 마른 적은 없었는데, 단식을 시작한다는 생각에 의한 심리적인 요인이 강한 것 같다.
  • 밤 9시부터 편도선이 부었다. 뭘 잘못 먹었나? 아무래도 요플레가 원인 같다.
  • 자정이 조금 넘어 잠들었다.
단식 1일차
배설
소변 – 아침. 색은 옅은 편이다.
비고

  • 04:40분 기상
  • 아침에 일어나니 편도선이 아픈게 더욱 심해졌다. 침 삼킬 때 마다 목이 아프다.
  • 아침에 50분간 가볍게 산책과 스트레칭을 했다.
  • 저녁에 20분정도 가볍게 산책을 하고 10분 정도 근력 운동을 했다.
  • 수시로 스츠레칭을 했다.
  • 밤이 되니 갈증이 좀 난다.
  • 저녁 산책 후에 피로를 좀 느꼈다.
  • 자정에 잠들었다
단식 2일차
배설
소변 – 오전 소변의 색이 짙다. 음양 감식을 할 때는 하루 한번은 물을 마셨지만 단식을 할 때는 물을 입에 대지 않으니 그런듯 하다. 몸 상태가 좋아지면 옅어지겠지.
소변 – 오후 소변 색이 오전보다 맑다.
비고

  • 04:44분 기상
  • 편도선이 여전히 아프고, 입이 텁텁하다.
  • 갈증이 나고, 약간의 배고픔을 느꼈다.
  • 음양 감식법을 실행하기 전부터 빈혈 기운이 좀 있었다. 끼니를 줄이니 빈도가 높아 졌었고, 오늘은 빈혈 기운이 있었으나 눈 앞만 잠깐 깜깜해 지는 정도이고, 일반적으로 겪었던 빈혈처럼 휘청일 정도는 아니었다.
  • 아침에 비가와서 우산을 쓰고 50분간 가볍게 산책과 스트레칭을 했다.
  • 저녁에 30분정도 가볍게 산책했다.
  • 트림이 나오고, 입이 텁텁하다. 입술도 마른다. 물 생각이 난다.
  • 자정에 잠들었다
단식 3일차
배설
소변 – 아침. 거품이 많다.
소변 – 저녁. 색 옅다.
비고

  • 05:40분 기상
  • 편도선이 나았다.
  • 아침에 산책 40분
  • 몸이 가볍다.
  • 심한 갈증을 느낀다.
  • 가만히 앉아 있으면 기운이 없고 힘들어서, 자꾸 움직이게 된다.
  • 입술이 말라서 벗겨진다.
  • 가려움을 느낀다.
  • 몸이 피곤하고 자꾸 눕고 싶다. 이럴 때 움직이면 괜찮다.
  • 가래가 끓는다.
  • 자정에 잠들었다
단식 4일차
배설
소변 – 아침 색 옅음. 거품 많음.
소변 – 저녁 색 옅음. 거품 많음.
비고

  • 05:10분 기상
  • 기운이 없다.
  • 아침 산책 50분
  • 힘이 없으니 단식을 멈출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 낮이 되니 힘이 좀 난다.
  • 피곤해서 잠깐 누웠는데 깨어보니 네 시간을 잤다.
  • 낮잠을 자고 일어나니 힘이 하나도 없다.
  • 오후 산책 30분
  • 몸을 움직이니 힘이 난다.
  • 새벽 한 시쯤 잤다.
단식 5일차
배설
소변 – 아침. 색 짙음. 거품 많음.
소변 – 오전. 색 옅음. 거품 보통.
소변 – 저녁 색이 옅음. 거품 많음.
비고

  • 04:44분 기상
  • 아침부터 기운이 없다. 배고픔도 느낀다.
  • 아침 산책 40분
  • 움직이니 기운이 난다.
  • 먹은것도 없는데 트림과 방귀는 계속 나온다.
  • 비가와서 그런가? 추위를 느껴서 긴팔을 걸쳤다.
  • 낮잠 한 시간 반.
  • 힘들어서 단식을 그만 두고 싶다.
  • 오후가 되니 몸이 좀 편하다.
  • 저녁 산책 40분.
단식 7일차
배설
소변 – 오전. 색 옅음. 거품 보통.
소변 – 저녁. 색 진함. 거품 많음.
비고

  • 새벽에 자다가 깼다. 어디서 단 냄새가 나서 깼는데 어디서 나는 냄새인지 맡아보니 내 몸에서 단 냄새가 나고 있다. 몸에 당분이 부족해서 내 몸을 식품으로 생각하나 보다.
  • 속이 메스껍고 어지럽다.
  • 가래가 한덩이 나왔다.
  • 아침 산책 40분.
  • 몸에 가스가 많이 차서 죽겠다. 좀 움직이면 괜찮지만 괴롭다.
  • 혀 클리너로 설태를 좀 긁어냈다. 입이 좀 덜 텁텁하다.
  • 가스를 빼려고 배를 두드려 보고 이리저리 움직이니 몸이 좀 낫다.
  • 가스가 좀 배출되니 몸이 가볍고 기운이 난다.
  • 배에 온찜질을 해 주었다.
  • 어무이와 쿵푸팬더 를2 보고 재래시장에서 장을 봐왔다.
  • 저녁 산책 한 시간.
  • 가래가 다량으로 나왔다.
  • 혀에 설태가 많이 껴서 하얗다. 입이 텁텁하다.
  • 어무이의 소고기-'7일 단식. 일주일만 굶어봐.'
    저녁 때 어무이께서 소고기 등심을 구워 드셨다. 평소 같으면 맛있겠다는 식탐이 고개를 들었겠지만, 지금 나에겐 그저 물 한 모금이 필요할 뿐이다.
  • 배고픔 보다는 갈증이 심하다. 지금 먹고 싶은 것은 배, 복숭아, 수박, 화채, 레몬에이드, 체리에이드, 토마토 주스, 오렌지 주스, 사탕수수등... 물! 수분! 그리고 당분.
  • 밤 11시경 잤다.
보식 1일차
식사
건강 곡물 쿠기-'7일 단식. 일주일만 굶어봐.'
밥과 마른반찬-'7일 단식. 일주일만 굶어봐.'
밥 – 8일만의 첫 식사. 오후 4시 반에 시작했다. 먼저 건강 쿠키를 먹었는데 무척 힘겨웠다. 침 한방울 없는 상태에서 수분이 없는 쿠키를 먹으려니 그럴 수 밖에... 조그마한 쿠키 하나를 먹는데 20분이 걸렸다. 씹고 씹고 또 씹어서. 죽처럼 될 때 까지 씹어서 넘기지 않는다면 숨을 못쉬어 호흡곤란으로 죽을듯 하다. 쿠키를 먹고난 이후엔 따뜻한 현미밥 반 공기 정도에, 마른 김, 김치를 먹었다. 쿠키에 비하면 먹기가 한결 수월하다. 밥 자체에도 수분이 있고, 김치에도 수분이 있으니까. 식사의 하이라이트. 아기다리 고기다리 던.
사과 반쪽-'7일 단식. 일주일만 굶어봐.'
후식. 사과 반쪽. 냉장고에 들어있던 사과라, 밥통에 잠깐 넣어서 약간 미지근하게 냉기를 빼고 먹었다. 살면서 이렇게 달고 맛있는 사과는 처음이다. 정말 달고 맛있는 사과를 먹으려면, 일주일 동안 입에 물 한 방울 안대고 나서 먹으면 된다. 5시 15분에 식사가 끝났다.
물 – 기다리던 물 시간. 일반 음양탕(뜨거운물+찬물=미지근한 물) 한잔을 먼저 한 잔 마셨다. 처음엔 쓴 맛이 느껴졌고, 이후엔 단 맛이 느껴졌다.
그 다음엔 율무 끓인물에 찬물을 섞어서 한 잔 더 마셨다. 고소한게 맛이 좋다. 물이 몸에 흡수 될 때 까지 20분간 기다렸다.
막걸리-'7일 단식. 일주일만 굶어봐.'
물 – 물 마신지 20분 후. 단식 후 기혈순환에 좋다는 막걸리를 마셨다. 사발로 마시던 습관 때문에 500ml를 미리 따라 두었는데, 막상 마시려니 많이 마실 수 없었다. 350Ml정도 마시고 나머지는 아쉽지만 버렸다. 오랜만에 곡차를 마셔서 그런가? 알딸딸 하다.
배설
소변 – 오전. 색 짙음, 거품 많음.
소변 – 오후. 색 짙음, 거품 적음.
비고

  • 4:50 기상
  • 힘이 없다. 기력이 달리는 걸 확실히 느낀다.
  • 아침 산책 한 시간.
  • 산책 간김에 버찌를 좀 주워왔다.
  • 몸에 열이나서 찬물에 얼굴을 몇 차례 담구었다.
  • 입이 타들어가듯 갈증이 나고 몸에 힘이 하나도 없다. 맥주 3000cc정도는 가볍게 마실 수 있을 것 같다. 세번 정도에 끊어서 1000cc씩. 캬~ 생각만으로도 행복하다.
  • 오전에 가래가 좀 나왔는데, 피 같은게 섞여있다.
  • 배에 온찜질을 했다.
  • 누우면 당췌 일어나기가 힘들다. 흙으로 돌아가려는 걸까? 아직은 아니다. 오늘이면 밥을 먹는다고!
  • 몸에 열이 많다. 하루종일 머리에 얼음 찜질을 하고 있다.
  • 갈증이라는 단어로는 부족하다. 목이 타들어가는 느낌이다.
  • 피가 섞인듯한 갈색 가래가 나왔다.
  • 배고픈걸 딱히 몰랐는데, 밥을 하려고 쌀을 꺼내니 갑자기 허기가 진다.
  • 시원한 사탕수수 즙이 마시고 싶다.
  • 밥솥에서 빠지는 김에서 단 냄새가 난다. 하긴 내 몸에서도 단 냄새가 나는데, 탄수화물에서 단 냄새가 나는건 이상할 것도 없다.
  • 저녁 산책 한 시간.
  • 오랜만에 음식을 먹어서 그런지 몸이 무겁고 숨이 좀 찬다.
  • 몸에 열이 많다. 머리에 차가운 수건으로 냉찜질을 했다.
  • 밤 11시 반경에 잠들었다
보식 2일차
식사
토마토 구이-'7일 단식. 일주일만 굶어봐.'
버찌-'7일 단식. 일주일만 굶어봐.'
밥 – 입이 바짝 마른채로 과자를 먹다가 기도가 막혀서 힘이 들었다. 500원짜리 두개만한 과자를 15분동안 꼬곡 씹었는데도, 하마터면 질식사를 할 뻔 했다. 다행히 고비를 넘기고 현미밥과 마른 김. 그리고 오늘부터 나의 주 반찬이 될 토마토, 버섯 구이를 해 먹었다. 일주일간은 기름기를 자제해야 한다고 했으니 오직 죽염으로만 맛을 내고, 일주일 후 부터는 올리브유를 곁들일 셈이다. 소금간만 해도충분히 맛있다. 후식은 사과 반쪽, 버찌 약간, 키위 하나를 먹었다. 후식을 많이 먹은 것 같지만 다 합해도 사과 ¾ 크기 정도이다.
물 – 물 시간이 되자마자 레몬띄운 음양탕에 죽염을 티스푼으로 하나 넣어 500ml 마셨다. 맛이 괜찮다.
물 – 수영 끝나고 일회용 종이컵으로 음양탕을 두컵 반 마셨다.
물 – 집에 와서 감잎차 한잔을 그냥 마시고, 죽염을 탄 감잎차를 한잔 더 마셨다. 감잎차에 죽염을 타면 맛없다.
배설
소변 – 오전. 색 짙음, 거품 많음.
대변 – 쾌변. 바나나 형태 세 덩이. 물에 뜨는 가벼운 변.
소변 – 오후. 색 옅음, 거품 보통.
소변 – 밤. 색 옅음. 거품 보통.
비고
  • 새벽부터 목이 탄다. 막걸리를 많이 마셔서 그런가 보다.
  • 5:30 기상
  • 아침 산책 40분
  • 갈증이 심하다. 책상을 닦은 걸레를 빠는데, 걸레 빤 물이라도 마시고 싶을 정도이다.
  • 몸 전체적으로 열이 많아서 머리에 하루종일 냉찜질을 한다.
  • 극심한 갈증에 대해 음양사에 문의 했더니, 전날 마신 막걸리 때문에 그럴것이란다. 하루 지나면 괜찮겠지.
  • 밥 먹고 가만히 앉아 있으면 체할 것 같아서 자꾸 움직여줬다.
  • 저녁에 몸무게도 달아볼겸 수영장을 다녀왔다. 오고 가는데 걸어서 삼십 분이 걸리고, 수영을 40분 했다. 총 한 시간 이십 분이다.
  • 58kg-'7일 단식. 일주일만 굶어봐.'
    몸무게를 달아보고 놀랐다. 이게 내 몸무게라니. 58.2kg. 혹시 체중계가 고장났나 싶어 다른 사람이 달고 나면 다시한번 달아보고, 또 다른 사람이 몸무게를 재고 난 뒤에 다시 한번 재 보았지만, 여전히 58.2kg 이다. 신기한 건 수영을 하고 나와서 달아보았을 땐 58.3kg 이라는 거다. 피부로 100g의 물을 흡수 한 것. 수영장에 오기 직전에 물을 500ml 마시고 왔는데도 이 몸무게라니. 내가 58kg 이었던 적이 있긴 있었다. 중학교 3학년 때, 키가 169cm 였을때다. 그 이후로 앞에 5자가 붙은 걸 본 적이 없는데... 보통 74~5kg 을 유지 했었다. 자신의 평균 몸무게에서 40%이상 빠지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고 하는데, 난 44kg 까지는 생명을 유지할 수 있으니 이론적으로는 이주 단식도 가능하다고 본다. 다만 정신력이 부족할 뿐. 나중에 일주일 정도 단식은 가볍게 할 수 있으면 차차 단식 일수를 늘려가면 될 듯 하다.

  • 몸무게나 달아보려 왔지만, 온 김에 레인에 들어가 몸을 점검해 봤다. 근력이 형편 없이 떨어졌다. 벤치프레스 150kg 정도는 가볍게 들던 사람이, 15kg도 쩔쩔 매며 들어올리는 기분이 이럴까? 수영 방법은 몸이 기억하고 있지만, 팔에 힘이 없어서 앞으로 가기가 쉽지 않다. 자유형으로 50m 가는데도 팔에 힘이 빠질 정도. 100m 를 시도해 봤더니 심장이 쿵쾅쿵쾅 난리도 아니다. 숨이 차서 심장이 빨리 뛰니 피가 모자란지 손이 창백해지고 저린다. 무리하면 안되겠다 싶어서 평형으로 한 두 바퀴 더 돌고 나왔다.
  • 확실히 몸에 열이 많아진 걸 느낀다. 보통 샤워할 때 약간 따뜻한 물로 먼저 씻고 찬물로 헹궜는데, 바로 찬물을 틀어도 몸이 시렵기 보단 좀 더 시원한 물로 씻고 싶다. 몸에 열이 가득하다.
  • 밤 11시 반에 잠들었다.
보식 3일차
식사
밥 – 아침. 과자 한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가지, 파프리카 구이, 마른 김. 후식 사과 반 개. 버찌 약간, 키위 하나. 본격적인 식사 전에 먹는 과자를 먹는것은 여전히 힘들다. 아직 입에 침이 충분히 나오지 않아서다.
밥 – 저녁. 과자 한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구이, 도라지 무침. 후식 사과 반 개 .버찌 약간. 바나나 한 개. 혹시나 원푸드 다이어트를 해야 할 상황이라면 난 토마토를 선택 할 것 같다. 정말 맛있다.
물 – 레몬 생강차 에 죽염을 타서 300ml 마셨다.
물 – 수영장에서 나오면서 종이컵으로 음양탕 한 컵 마셨다.
물 – 집에 와서 레몬 생강차 500ml 마셨다.
배설
소변 – 오전. 색 옅음 거품 보통.
대변 – 13일만에 큰일을 봤다. 한참 힘을 주고서야 호두알 만한 변을 다섯 덩어리 누었다. 애썼다 정말. 냄새가 좀 구리다.
소변 – 오후. 색 옅음, 거품 보통.
대변 – 저녁 먹고 배에 신호가 와서 화장실을 갔다. 자세를 여러 번 바꾸며 네 덩이를 누었다. 그중 한 덩이는 자두나 귤처럼 커다란게 나왔다. 이런게 뱃속에 있었으니 얼마나 속이 불편했을까. 어떻게 몸 속에서 저만한 덩어리가 만들어 졌는지 신기하다. 나머지는 호두알 만한 크기이다. 변 곳곳에 허연게 묻어있다. 마지막에 나온 녀석은 미끄러지듯 편안하게 나와서 앞으론 더 이상 힘주지 않아도 될 것이라는 희망을 품게 해 주었다. 두개는 뜨는 가벼운 변이고, 나머지는 가라앉았다. 냄새는 없다.
소변 – 밤. 색 옅음. 거품 보통.
비고
  • 5:00 기상
  • 여전히 목이 타지만 전날에 비해서 낫다.
  • 하품하면 눈물과 콧물이 난다. 이제 그 정도로 몸에 수분이 충분하다는 신호. 하지만 여전히 갈증이 난다.
  • 어무이와 장을 보러 다녀오며 조금 걸었다.
  • 졸음이 쏟아져서 배에 온찜질을 하며 한시간 낮잠을 잤다.
  • 수영을 다녀왔다. 확실히 전날보다 체력이 좋아진 걸 느낀다. 이대로 라면 얼마 가지 않아서 단식전 체력으로 회복할 것 같다.
  • 체중이 하루만에 1kg 늘어서 59.2kg 이다. 물에 들어갔다 나오니 100g이 늘어있다. 피부로 100g을 흡수하나 보다. 화장실도 두번이나 갔는데 1kg이 늘다니.
  • 레몬이 많이 들어간 것은 내 몸에서 별로 반기지 않는다. 가스가 찬다.
  • 11시 반에 잠들었다
보식 4일차
식사
밥 – 아침. 과자 한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가지 구이, 마른 김. 후식 사과 반 개. 버찌 약간, 키위 하나.
밥 – 저녁. 과자 한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구이. 후식 사과 반 개 .버찌 약간. 바나나 한 개.
물 – 수영이 끝나고 일회용 종이컵으로 음양탕 두잔을 마셨다.
물 – 집에와서 레몬생강차 500ml 마셨다. 건더기는 모두 거름망에 걸러 내고 마셨다.
물 – 감잎차 한잔을 마셨다.
배설
소변 – 오전. 색 옅음, 거품 믾음.
대변 – 아침에 변의가 있어서 화장실에 갔다. 여전히 호두알 같은 녀석들이 토끼똥처럼 끊어져서 나오지만 전날에 비해 한결 수월했다. 막 일어서려는데 갑자기 아랫배의 통증과 함께 묵직한게 내려옴을 느꼈다. 보통 크기가 아닌지 걸려서 나오지 않았고, 심호흡과 함께 마음을 편히 먹고 나오기를 기다렸다. 힘조절을 하다 보니 어느순간 밀고 나온 그녀석. 캔커피 만한 크기의 몸체에 호두알 모양이 몇 개 붙어있다. 이런게 몸에서 나오다니. 토끼똥은 이제 안녕이라는 듯. 굵고 길다란 건강한 녀석이다. 그렇게 커다란데도 물에 잘 뜨는걸 보니 영양소를 잘 흡수했나보다. 작은 덩어리 하나만 가라앉고, 나머지는 모두 물에 떴다.
소변 – 밤. 색 보통. 거품 보통.
비고
  • 6:00 기상
  • 몸이 피곤하고 배에 가스가 많이 차있다. 레몬 생강차를 진하게 많이 마신게 원인 같다.
  • 낮잠 한시간 반 잤다. 잠에서 깨도 계속 졸려서 30분을 더 누워있었다. 몸이 급속도로 회복되면서 자꾸 잠이 오나보다.
  • 배고픔을 느낀다. 배고픔을 느끼는 걸 보니 몸이 정상 궤도에 올라오고 있나보다.
  • 수영 40분. 체력이 급격히 회복되고 있음을 느낀다.
  • 몸무게가 60kg 대로 진입했다. 60.05kg 더이상 피부로 물을 흡수하지는 않는듯, 수영이 끝나고 재봐도 같은 몸무게이다.
  • 11시경에 잠들었다
보식 5일차
식사
밥 – 아침. 과자 한 개반, 잡곡밥 토마토, 버섯, 마늘 구이, 마른 김. 후식 사과 반 개. ㅋ;으;한 개. 버찌 약간.
밥 – 저녁. 과자 두 개반, 잡곡밥, 토마토, 버섯, 마늘 구이, 마른 김.. 후식 사과 반 개 .버찌 약간. 바나나 한 개.
물 – 레몬 생강차 에 죽염을 타서 600ml 마셨다.
배설
소변 – 오전. 색 보통, 거품 보통.
대변 – 쾌변. 바나나 형태 세 덩이. 물에 뜨는 가벼운 변.
소변 – 오후. 색 보통, 거품 보통.
소변 – 오후2. 색 옅음, 거품 보통.
소변 – 밤. 색 보통. 거품 보통.
비고
  • 5:00 기상
  • 일어나기가 힘들다. 배에 가스가 가득차 있다. 그래서 그런지 몸이 아주 불편하다. 짐작가는 원인은 네 가지다. 식사시간에 먹는 과일의 양이 많거나, 밤 늦게 배고픈데 물을 너무 많이 마시고 자서 그렇거나, 음식을 꼭꼭 씹어 삼키지 않아 소화가 덜 된 것이다. 우선 음식을 꼭꼭 씹어 먹으며 경과를 지켜봐야겠다.
  • 아침 산책 30분
  • 낮잠 세 시간. 정신 없이 잤다.
  • 자고 일어나니 배가 많이 고프다.
  • 저녁 산책 20분
  • 원래 안좋던 왼쪽 복부가 많이 불편하다.
  • 밤 11시 반에 잠들었다
보식 6일차
식사
밥 – 아침. 과자 한 개, 완두콩&밤 잡곡밥, 토마토, 버섯, 마늘 구이, 마른 김. 후식 사과 반 개. 키위 한 개.
밥 – 저녁. 과자 두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마늘, 양파 구이, 마른 김.. 후식 사과 반 개. 바나나 한 개.
물 – 음양탕 200ml
배설
소변 – 오전. 색 짙음, 거품 많음.
소변 – 오후. 색 옅음, 거품 보통.
소변 – 밤. 색 옅음. 거품 보통.
소변 – 밤. 색 옅음. 거품 보통.
비고
  • 8:30 기상
  • 밥을 먹자 마자 소화가 되버린다.
  • 시도때도 없이 졸립다.
  • 밤만 되면 몸이 불편하고 눕고 싶다.
  • 새벽 1시 반에 잠들었다
보식 7일차
식사
밥 – 아침. 과자 한 개, 완두콩 잡곡밥 토마토, 버섯, 감자 구이, 마른 김. 후식 사과 반 개. 키위 ¼, 바나나 한 개.
밥 – 저녁. 과자 두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마늘, 양파 구이,감자 두 개 반, 후식 사과 한 개 바나나 한 개.
물 – 한모금
배설
소변 – 오전. 색 보통, 거품 보통.
소변 – 오후. 색 옅음, 거품 보통.
소변 – 밤. 색 보통. 거품 보통.
비고
  • 7:30 기상
  • 음식이 먹자마자 소화가 되버리는듯 하다.
  • 저녁 수영 40분. 아직 심장이 빨리 뛰면 손에 피가 잘 안돌긴 하지만 체력이 많이 회복되었다.
  • 62,4Kg-'7일 단식. 일주일만 굶어봐.'
    몸무게 62.4kg
  • 과식을 좀 해도 소화가 잘 된다.
  • 새벽 한시쯤 잠들었다.
보식 8일차
식사
밥 – 아침. 과자 두 개반, 잡곡밥 토마토, 버섯, 마늘, 양파 구이, 감자 구이 한 개. 후식 사과 반 개. 키위 두 개.
밥 – 저녁. 과자 두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마늘, 양파 구이, 감자 구이 한 개반. 후식 사과 반 개, 바나나 한 개, 키위 한 개. 냉동실에 얼려 놨던 바나나를 녹여서 먹었는데, 덜 녹아서 차가운 채로 먹었더니 바로 속이 불편하다.
조금 – 물 생각이 없어서 죽염만 한 스푼 먹었다.
배설
소변 – 오전. 색 짙음, 거품 많음.
대변 – 삼 일만의 쾌변. 가지 형태 물에 뜨는 가벼운 변.
소변 – 오후. 색 옅음, 거품 보통.
비고
  • 8:00 기상
  • 수영 40분.
  • 몸무게 62.5 kg
  • 배고프다.
  • 자정쯤 잠들었다.
보식 9일차
식사
밥 – 아침. 과자 두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마늘, 양파 구이. 후식 사과 반 개. 키위 한 개. 배부르게 먹는다고 배 고플 시간에 배고프지 않은건 아니라서 배가 고프지도, 부르지도 않을 정도만 먹기로 했다.
밥 – 저녁. 과자 네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마늘 , 양파 구이. 후식 사과 반 개, 바나나 한 개.
소금 – 죽염 두 스푼
물 – 홍삼 진액 90ml
배설
소변 – 오전. 색 짙음, 거품 보통.
대변 – 쾌변. 가래떡처럼 길다. 다만 전날 차가운 바나나를 먹어서 그런지 가라앉았다.
소변 – 오후. 색 옅음, 거품 적음.
비고
  • 6:00 기상
  • 아침 산책 20분
  • 손발이 차고, 빈혈 기운이 있다.
  • 낮잠 두 시간.
  • 수영 40분.
  • 몸무게 62.2kg
  • 자정쯤 잠들었다.
일반식 적응 1일차
식사
밥 – 아침. 과자 두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양파, 가지 구이, 백설기 약간. 후식 키위 한 개.
밥 – 저녁. 과자 두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마늘, 양파, 당근 구이. 후식 견과류 강정,양갱 두 쪽, 키위 반 개, 포도 몇알. .밥 먹고 일어나자마자 소화가 다 되었다.
물 – 홍삼 진액 90ml
물 – 레몬 생강차 반잔
배설
소변 – 오전. 색 옅음, 거품 보통.
소변 – 오후. 색 옅음, 거품 보통.
소변 – 오후2. 색 옅음, 거품 보통.
비고
  • 5:30 기상
  • 단식 전처럼 종합 비타민을 먹기 시작했다.
  • 회충약을 한 알 먹었다.
  • 배고프다.
  • 보식기간에는 죽염으로만 간을 했지만, 이제는 식물성 기름과 식초등의 조미료도 먹는다.
  • 아침에 동네 뒷산에 다녀왔다. 오랫만이라 힘들지만 몸이 가볍다.
  • 자정에 잠들었다
일반식 적응 2일차
식사
밥 – 아침. 과자 두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양파, 마늘 구이,마른 김. 후식 양갱 세 쪽, 견과류 강정, 바나나 한 개. 포도 몇알.밥
– 저녁. 과자 두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양파, 마늘, 연근 구이,마른 김. 후식 양갱 세 쪽, 견과류 강정, 바나나 한 개. 포도 몇알.
물 – 홍삼 진액 90ml
배설
소변 – 오전. 색 옅음, 거품 보통.
대변 – 쾌변. 바나나 모양 세 덩이. 둘은 뜨고 하나는 가라앉음.
비고
  • 5:00 기상
  • 수영 40분. 혈액순환이 원활하다.
  • 몸무게 62.8 kg
  • 자정쯤 잠들었다.
일반식 적응 3일차
식사
밥 – 아침. 과자 두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양파, 마늘,고추, 연근 구이,마른 김. 후식 양갱 두 쪽, 호두 과자 두 개. 견과류 강정, 바나나 한 개. 포도 몇알.
밥 – 저녁. 과자 두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양파, 마늘, 당근, 가지, 고추 구이,마른 김. 후식 양갱 두 쪽, 견과류 강정, 바나나 두 개. 포도 몇알.
물 – 홍삼 진액 90ml
물 – 매실차 한 잔
배설
소변 – 오전. 색 옅음, 거품 보통.
대변 – 쾌변. 길다란 바나나 모양. 물에 뜨는 황금색.
소변 – 오후. 색 옅음, 거품 보통.
비고
  • 5:00 기상
  • 아침 산책 30분
  • 배고프다.
  • 낮잠 한 시간
  • 저녁 산책 30분
  • 자정쯤 잠들었다.
일반식 적응 4일차
식사
밥 – 아침. 과자 세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양파, 마늘, 연근, 고추 구이,마른 김, 두부부침. 후식 양갱 두 쪽, 견과류 강정, 바나나 한 개. 키위 한 개
밥 – 저녁. 과자 두 개,식빵 한 쪽,잡곡밥, 토마토, 버섯, 양파, 마늘, 가지 구이. 후식 양갱 두 쪽, 견과류 강정, 바나나 한 개. 키위 한 개.
물 – 홍삼 진액 90ml
물 – 칵테일 한 잔
배설
소변 – 오전. 색 보통, 거품 많음.
대변 – 쾌변. 바나나 모양 두 덩이. 둘은 뜨는 황금색.
소변 – 오후. 색 보통, 거품 보통.
소변 – 오후2. 색 보통, 거품 보통.
비고
  • 5:00 기상
  • 아침 산책 30분
  • 밤 11시 경 잠들었다.
일반식 1일차
식사
밥 – 아침. 과자 두 개반,토스트(달걀후라이,치즈), 잡곡밥, 감자튀김, 토마토, 버섯, 양파, 마늘, 옥수수 구이. 후식 바나나 한 개, 키위 반 개.
연어 스테이크-'7일 단식. 일주일만 굶어봐.'
밥 – 저녁. 과자 반 개, 잡곡밥, 연어 스테이크, 감자샐러드, 토마토, 버섯, 양파, 마늘 구이. 후식 견과류 강정, 바나나 반 개, 키위 1/3 개
물 – 홍삼 진액 90ml
물 – 매실차 한 잔
배설
소변 – 오전. 색 보통, 거품 보통.
대변 – 쾌변. 바나나 모양 네 덩이. 물에 뜨는 황금색.
소변 – 오후. 색 옅음, 거품 보통.
비고
  • 5:00 기상
  • 아침 산책 40분
  • 갈증이 좀 난다.
  • 어무이와 장 보러 다녀옴
  • 저녁 산책 20분
  • 자정쯤 잠들었다.
일반식 2일차
식사
밥 – 아침. 과자 한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양파, 마늘, 연근, 옥수수 구이, 마른 김, 감자 샐러드. 후식 견과류 강정, 사과 반 개, 키위 한 개.
밥 – 저녁. 과자 한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양파, 마늘, 옥수수 구이, 감자 샐러드. 후식 견과류 강정, 사과 한 개.
물 – 홍삼 진액 90ml
물 – 레몬 생강차 한 잔
배설
소변 – 오전. 색 보통, 거품 보통.
대변 – 쾌변. 바나나 모양 두 덩이. 물에 뜨는 황금색.
소변 – 오후. 색 옅음, 거품 적음.
비고
  • 5:00 기상
  • 아침 산책 20분
  • 수영 40분.
  • 몸무게 64.6 kg
  • 새벽 한 시쯤 잠들었다.
일반식 3일차
식사
밥 – 아침. 과자 한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양파, 마늘, 가지 구이, 마른 김. 후식 견과류 강정, 사과 반 개, 키위 한 개.
밥 – 저녁. 과자 한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양파, 브로컬리, 가지, 옥수수 구이. 후식 견과류 강정, 키위 한 개.
물 – 홍삼 진액 90ml
배설
소변 – 오전. 색 옅음, 거품 적음.
대변 – 쾌변. 길다란 바나나 모양 힌 덩이. 얇은 변 다수. 황금색. 모양이 갖추어진 변은 뜨고, 얇은 변은 가라앉았다. 보통 음식이 소화되어 나오는데 24시간이 걸리니, 어제 아침의 음식이 제대로 흡수되지 않았나 보다. 배부름이 느껴 질 정도에서 견과류 강정을 너무 많이 먹었고, 과일까지 먹어서 소화가 힘들었나 보다.. 혹은 일반식 첫날 저녁에 좀 과식을 했던 것을 소화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다음날 아침까지 과하게 먹어서 탈이 난 걸 수도 있다.
소변 – 오후. 색 짙음, 거품 적음.
소변 – 밤. 색 옅음. 거품 보통.
비고
  • 6:00 기상
  • 수영 40분.
  • 몸무게 64.8 kg
  • 자정쯤 잠들었다.
일반식 4일차
식사
밥 – 아침. 과자 한 개,크림치즈 베이글 반 쪽, 잡곡밥, 토마토, 버섯, 양파, 마늘, 가지, 브로컬리 구이, 볶은 김치. 후식 견과류 강정, 사과 반 개, 양갱 한 쪽.
밥 – 저녁. 과자 한 개, 잡곡밥, 토마토, 버섯, 양파, 마늘, 가지, 브로컬리, 버터 치즈 옥수수 구이, 볶은 김치. 후식 견과류 강정, 양갱 두 쪽, 키위 한 개.
물 – 홍삼 진액 90ml
배설
소변 – 오전. 색 보통, 거품 보통.
대변 – 쾌변. 긴 바나나 모양 한 덩이. 짧은 바나나 모양 네 덩이. 물에 뜨는 황금색.
소변 – 오후. 색 보통, 거품 보통.
비고
  • 5:00 기상
  • 아침 산책 20분
  • 수영 40분.
  • 몸무게 64.7 kg
  • 밤 11:30경에 잠들었다.

일주일 후 몸무게를 달아보니 66.6Kg이다.

그 이후의 체중은 65~67Kg 사이를 오가고 있다.

참고 자료
『밥따로 물따로 음양 식사법』- 이상문 지음 / 정신세계사
『지상명령. 밥물이고식을 먹어라』- 이상문 지음 / 정신세계사
『빕 따로 물 따로 4개월의 기적』 - 이인선 지음, 이상문 감수 / 정신세계사
『단식 요법의 과학』 - 고다 미츠오 지음, 배성권 옮김

밥따로 물따로 음양 식사법
 영양 곡물 쿠키
물! 생명의 근원
『음양사 전화 상담』



by


Tags : , , , ,

  •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광고를 클릭해주시면,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음식을 먹지 않는 단식은 과학적일까요? 아닐까요? 이 책 `단식 요법의 과학`에서는 단식을 현대 의학의 관점으로 접근한 니시 의학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책을 처음 펼쳤을 때, 예상과 전혀 다른 내용에 좀 당황스러웠습니다.
저는 단식에 대한 의학적 근거와,
과학적인 단식 방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설명 되어있는 매뉴얼을 생각했거든요.
단식에 대한 내용 보다는,
일본 단식 요법의 근간인 니시 의학을 주로 다루고 있습니다.
사례에 대한 소개가 참 다양하게 되어있어서,
니시 의학에 대해 관심이 있다면 한번쯤 읽어볼 만한 책입니다.
by 月風

단식 요법의 과학

무쌍원리 일람표

건(乾) 진(震) (離) 간(艮) 태(兌) 감(坎) 손(巽) 곤(坤)
양극











음극
<-----------------> <---------------><--------------->
<-----------><-----------><------------><------------>
경체 <--------------->연체<------------>액체 <------------> 가스체
<------------------------------------------------------------------------------>
활동 <--------------------------------------------------------------------------> 정일
응집압축 <------------------------------------------------------------------> 확산분리
하강 <------------------------------------------------------------------------> 상승
둥글고, 짧고, 두텁고, 굵고 <-------------------------------------> 길고, 얇고, 가늘고
저음 <--------------------------------------------------------------------------> 고음
<------------------><-------------------><---------------------->
장파 <---------------------------------(전파)--------------------------------->  단파
H.C.LI.AS<---------------------------(원소)------------------------>  O.N.P.K
엘렉트론 <--------------------------(중성자)----------------------------> 플로톤
구심력 <---------------------------------------------------------------------> 원심력---------------------------------------------------------------------------------------------

음양의 조건과 응용의 일부



음성---------------------------- 양성----------------------------


방향(지평면기준)
형의 대소
밀도 비중
중력
시공
미네랄
비타민
광선
고저
기후
계절
방위
토지
남녀
생물
지, 남, 청, 녹
원심, 팽화, 확산
상승성
대, 장

가볍다
공간
K,Mg
C,B
자외선
높은 곳, 고산의 정상
한대, 냉대
겨울, 가을
북서
대륙 내부

식물(과일,녹차,야채,해초,곡물)
신,산
황, 등, 적
구심, 수축
하강성
소, 단

무겁다
시간
Ca,Na
A, D, E, B12
태양광선, 적외선
저지, 해변
온대, 열대
봄, 여름
동남
해안지방

동물(어패류, 새고기, 알, 사족육)
감(단 천연물),감(염), 씀
인상
판단에
응용

눈의 모양


입,입술

모발
대, 내린 눈, 삼백안
▼ █ ●
크게, 서서엷다
대, 특히 코가 크다
대, 두껍다
비만, 장신
검고, 많음
소, 치뜬 눈, 상삼백
▄ ▲
적게, 붙어서, 굳다
소, 하늘을 향해 있다
적다, 엷다
근육질, 단구
붉게, 적게, 찌그러졌다
성격 유심적, 예술적, 소극적, 슬로 모션 유물적, 실업적, 적극적, 빠르다


체질개선의 결정적인 방법은 1=0에 있다.

합리적(1=1)
----------------------------


비합리적(1=0)
-------------------------------
 상대적 음양중화의 생활 중심(조화)  변증법적 음양갈등의 생활
번뇌즉 지옥(부세)
증상즉 질병(현대의학)
배가 고프면 밥을 먹는다(현대 영양학)
냉한 몸을 덥힌다
음성 체질에 양성식
산성 체질에 알칼리성 식품
체액의 밸런스가 취해진다(증상이 고쳐진다)
만보 걷기, 달리는 운동으로 발과 다리를 단련
하이힐로 걷는다
심장의 펌프 작용으로 혈액 순환 (현대 의학)
지출에 따라서 번다(합리적 경영학)
색즉시색(현대 과학)
오른손잡이가 오른쪽을 쓴다
다수당의 정치(현상유지)
다수당의 의학현(대 의학)
합리적인 현대의 교육
변뇌즉 보리(불교)
증상즉 요법(동양의학)
배가 고파도 밥을 먹지 않는다(감식, 단식)
냉한 몸을 반대로 차게 한다(냉수욕)
음성 체질에 음성식
산성 체질에 산성 식품(단식)
체액의 밸런스가 무너진다(증상이 나타난다)
모관 운동으로 발과 다리를 단련
한 쪽 나막신으로 걷는다
모세 혈관의 모과현상으로 혈액 순환(니시 의학)
봉사하며 사업, 장사 번창
색즉시공(반야심경)
오른손잡이가 왼손을 쓴다
소수당의 정치(혁명적)
소수당의 의학(혁명적 니시의학)
비합리적 스파르타 교육

체질개선의 결정적인 방법은 1=0에 있다.
배가 고파도 밥을 먹지 말라’ 라고 하는 것은 이치에 안 맞는다. 모순된다. 이것을 예를 든다면 1=0이라는 수식으로 표현해도 좋을 것이다.
배가 고프면 밥을 먹는다.’ 하는 1=1식의 논리에 맞는 방법으로는 편리하게 체질개선이 안된다.



니시 건강법
 

풍욕법
프랑스의 로부리 라는 사람이 고안한 것에 니시 선생이 조금 개량하여 만든것
표재 정맥의 신축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는 사라은 건강하나 신축 운동이 생리적으로 조절되지 않고 정맥이 항상 노창하고 있는 것 같은 사람은 병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피부 펴면에 있는 정맥에 신장 운동을 시켜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동시에 피부의 호흡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더욱이 한랭에 대한 저항력을 증진시키고자 고안된 것이 풍욕법이다.
 

모관 운동
평상 위에 경침을 베고 드러누워 양손과 양다리를 수직으로 올리고 가볍게 진동시킨다. 이 운동을 매일 아침에 2회 정도 실시하는 것이다. 1회의 운동 시간은 보통 1분 내지 2분으로 되어 있으나 익숙해지면 3분이나 5분을 계속해도 좋다.
 

붕어 운동
우선 누워서 몸을 되도록 일직선으로 펴고 발끝을 무릎 쪽으로 직각 이상으로 젖히고(아킬레스건을 펴고) 양쪽의 발바닥이 평면이 되도록 하고 양손을 깍지 껴서 목에 대고 양 팔꿈치를 펴고 붕어가 헤엄치듯 빠르게 움직일 것, 이것을 하루 2회 아침저녁으로 한다. 시간은 대체로 2분 정도가 좋으나 5분 정도 더하여도 좋다. 처음 한동안은 마음대로 안 되므로 양 팔꿈치나 발끝으로 조절하면서 천천히 움직이도록 하고 익숙해짐에 따라 점점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이때 양 팔꿈치가 수평이 안 되고 위로 올라가는 사람이 있는데 양 팔꿈치는 수평이 되도록 하고 방바닥에 접촉 시키면서 움직이도록 주의할 것. 그렇지 않으면 머리와 목을 위로 들어 올리는 것 같이 하면 된다.
 

복부 운동법(본 운동만)
양 무릎은 주먹이 5개 들어갈 정도로 하고 양발은 엄지발가락이 조금 겹치도록 하고 앉는다. 준비 운동이 끝나면 힘을 빼고 손바닥을 펴고 양손을 조용히 무릎 위에 얹는다. 이 때 새끼손가락과 약지(네째)를 무릎에 붙이고 손바닥은 반 정도 위를 향한다.
이런 자세로 미골을 중심으로 머리 꼭대기까지를 일직선으로 하여(앉은 자세로 허리를 펴는 기분) 하나의 막대기처럼 좌우로 흔들고 동시에 배를 내보내고 들여보낸다.
즉 척추가 직립했을 때 배를 쪼그리고 좌우로 기울였을 때 내밀어(힘을 넣을 것) ㅇ이것을 거듭하는 것이다. 척추 운동은 1분간에 50회 내지 55회 왕복의 속도로 약 10분간 총 500회 정도를 표준으로 한다. 좌우로 쓰러뜨리는 각도는 중심선에서 도가40 표준으로 어깨가 중심선에 올 정도로 한다. 허리에서 상부를 구부려 척추가 한 개의 막대기처럼 안 될 때는 신장을 압박하여 나쁘게 하는 일이 있으므로 상체를 반드시 한 개의 막대기를 쓰러뜨리듯 바르도록 주의해야 한다.

골반 부정의 교정법
 

합장합척법
바로 누워서 양손과 발바닥을 맞대고 그 합친대로 떼지 말고 양손은 머리 위로 양발은 그대로 미끄러뜨려 아래쪽으로 편다. 그리고 이번에는 양손과 양발을 원위치로 되돌리고 다시 양손과 양발을 펴고 또 원위치로 돌아가는 운동을 거듭하는 것이다. 횟수는 보통 20회 정도가 좋으나 사람에 따라서는 50회나 100회로 늘리기도 한다. 양 다리르 폈다 오그리는 것은 발바닥 길이의 한 배 반 정도로 ㅇ한다. 이것에는 또 준비 운동이 필요하다. 즉 가슴 위에서 양손의 손가락을 서로 붙여 손가락을 빌고 당기는 것을 수회, 그리고 손가락 끝에 힘을 주어 맞대고 양전완을 장축으로 하여 손을 회전하기를 몇 번, 끝나면 조용히 합장 할 것.
또 합장합척 운동이 끝나면 바로 일어나지 말고 1분 내지 10분정도는 양손과 양발을 합친대로 멈출 것. 그리고 운동 중에는 되도록 무릎을 방바닥에 닿을 정도까지 대퇴를 벌린다. 이 운동을 아침과 밤 또는 1일 3회 정도 매일 열심히 실행하면 비로소 좌우의 골반은 바르게 되고 척추를 직립하여 지탱할 수 있게 된다.

스톤 요법
바로 누워서 양발을 조금 벌리고(약 도에서20 30도) 그리고 양발을 조금 들어 올려 자신이 제일 힘들다고 느낄때 발을 정지시키고 그대로 약 10초 동안 참는다. 시간이 되면 힘을 빼고 양발을아래로 떨어뜨린다. 그리고 다시 양발을 들어 올려 약 10초 동안 참았다가 아래로 떨어뜨린다. 이것을 2,3회 되풀이 한다. 1일 2회 될 수 있으면 3회 매일 계속 한다.

발끝을 반대측의 어깨에 붙이는 운동 요법

말 그대로 발 끝을 반대측 어깨에 붙이는 운동이다.



by


Tags : , , , ,

  •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광고를 클릭해주시면,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